|
* 슈퍼마켓에 파는 양파껍질
이 달걀을 양파껍질에 넣고 삶는다.
그러면 바로 아래와 같은 색깔이 나온다.
|
|
* 슈퍼마켓에 파는 양파껍질
이 달걀을 양파껍질에 넣고 삶는다.
그러면 바로 아래와 같은 색깔이 나온다.
|
|
이번 1월 한국에 갔을 때 가져온 물건이다. 지난해 리투아니아인 아내가 우연히 인터넷에서 이 제품을 알게 되었다. 용도는 물절약이다. 한국에서 만든 제품이라서 한국에 가면 꼭 구해오라고 신신당부를 했다. 그래서 미리 한국에 사는 조카에게 부탁했다.
수도관이 세계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을 수 있지만 다소 걱정 되었다. 조카도 부탁을 받고 보니 상당히 실용적이고 경제적이라 자기 집 수도관을 위해 우선 하나 구입했다. 그런데 수도관 크기와 이 제품 크기가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아래는 우리 집 수도관의 제일 밑부분이다. 표시는 KK P 278 IB로 되었다. 혹시 구입했다가 안 맞으면 소용이 없어서 선뜻 구입하기가 주저 되었다. 조카가 사용할 수 없는 자기 것을 가져가서 한번 해보라고 했다. 다행스럽게 딱 맞았다.
그래서 이날 현지인들이 손을 씻기 위해 수도꼭지를 틀었지만 물이 안 나온 이유가 바로 이 물건 때문이다. 하나 둘씩 밖으로 나와서 나에게 물었다.
"도대체 저기 수도관에 있는 물건의 정체는 뭐야?"
"Made in Korea. ㅎㅎㅎ"
"그런 줄은 알지만 용도는?"
"물절약이야."
이렇게 관심있는 사람들을 욕실로 불러 모아놓고 그 사용법을 알려주었다.
모두들 감탄하면서 다음에 한국에 가면 자기 것도 꼭 사오길 부탁했다. 사람들에게 설명하는 리투아니아인 아내도 덩달아 신이 났다.
|
|
그는 시인답게 자신의 한국 체험을 짧은 문장에 담아내었다. 아래 에스페란토 문장이다.
En Koreio
Brasiko akra,
vodko akva;
En Rusio
Brasiko dolĉa
vodko forta.
연잎밥으로 한국적 별미를 맛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설명했지만, 러시아 에스페란토 친구는 '고기'라는 한 마디 설명에 함박스테이크를 선택했다. 함박스테이크를 앞에 두고 소년처럼 좋아하는 순박한 그의 얼굴 웃음이 아직도 눈 앞에 선하다.
그가 느낀 또 하나의 색다른 음식 문화는 바로 국(수프)이다. 한국 음식에는 일반적으로 아침, 점심, 저녁 모두 밥상에 국물요리가 나온다. 이에 반해 유럽에서 수프는 하루 식사 중 가장 든든하게 먹는 끼니(보통 점심)에 나온다. 하루 세 끼 때마다 국을 먹는 일은 그에게 전혀 익숙하지 않았다.
아래는 한국 방문 중 먹은 다양한 국이다.
▲ 미역국
▲ 홍합국
▲ 매생이국
▲ 대구국
|
|
|
복도와 건물 근처에서 신고 다니는 실내화가 그의 발바닥에 여전히...
"어~~ 친구야."
"왜?"
"네 발 좀 ㅎㅎㅎ"
"앗, 내 정신 좀 봐."
"그처럼 습관이 참 무서운거야."
유럽 생활 초기에 현지인 친구들의 집 문을 열고 들어가면 깨끗한 마룻바닥이라 신발을 벗으려고 했다. 그럴 때마다 실내화를 싣고 있는 현지인들도 그냥 신발을 벗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종종 우리 집에 소포를 가져오거나 전기나 가스를 점검하는 사람들이 찾아온다. 아파트 현관문에서 신발을 벗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는 사람도 있다. 후자의 사람들에게 "우리 집은 신발을 벗어야 돼요."라고 말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 사람이 나간 후 방이니 복도를 청소하는 것이 마음적으로 더 편하기 때문이다.
유럽인이 한국의 집에 손님으로 와서 비록 사전 알림을 들었을지라도 습관으로 인해 신발이나 복도용 실내화를 신고 방안으로 들어오기가 쉽겠다. 습관의 위력이다. 그러니 낯선 곳에서의 처신에는 자기점검이 더 절실하다.
|
|
* 요즘 리투아니아는 유로 도입으로 은행이 분주한 때
바로 위에 붉은 색으로 동그라미를 한 것이 숫자 4이다. 어떤 사람들은 한치의 의문도 일어나지 않고 숫자 4로 알 것이다. 그런데 숫자를 다루는 은행원이 이를 못 알아보다니...
허참~~~
그럼 리투아니아 사람들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에게는 어떤 숫자 4 표기에 익숙해져 있을까?
|
바로 왼편에 붉은 원 안에 있는 숫자가 일반적으로 이들이 표기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나에겐 이런 표기가 숫자 4가 아니라 9로 보여지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40유로 달라는 쪽지를 보고 90유로를 주는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 유럽 사람들 사이에 어울려 살면서 특히 숫자 1, 4, 7에 각별하게 주의를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숫자 1(왼쪽),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1(가운데), 유럽 사람들이 흔히 표기하는 숫자 7(오른쪽).
한국의 사진관 아저씨가 가운데 숫자를 7로 읽었다. 사진관 주인은 내가 쓴 1자를 7자로 읽었던 것이다. 결국 이 1자 표기 때문에 사진값을 7배나 지불했다. 표기 실수에 대한 너무 비싼 수업료였다. 그 후 한국에서 1자를 쓸 때마다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했다. 1과 7, 그리고 4마저 현지 사람들이 익숙하게 쓰는 방법대로 해야겠다.
|
|
* 광고창 괴롭힘 없이 인터넷을 즐기고 있는 딸아이
이렇게 맛있는 빵과자가 완성되었다. 촛불까지 켜놓고 아빠를 불렸다.
"이거 어제 컴퓨터 손봐준 것에 대한 선물이야."
"정말? 답례가 너무 값지다!!!"
컴퓨터 손봐줬다고 "아빠는 사람이 아니다"라는 찬사를 받았고, 이렇게 보송보송한 빵과자까지 선물로 받다니 참 못난 아빠가 딸 가진 행복을 느끼는 순간이었다. 아들 부럽지 않은 딸이 요 경우가 아닐까 ㅋㅋㅋ
|
|
어제 받은 그물버섯 선물이 바로 이날을 떠올리게 했다. 아래집 윗집으로 살다보니 영감이 통했는지 이 버섯 선물을 받게 되어 기뻤다.
|
|
대체로 주변 사람들은 국을 많이 끓여서 남기는 일이 거의 없다. 그저 그때끄때 먹을 만큼만 끓인다. 그러니 남겨서 이를 데우고 할 일이 없다. 한국인 남편을 만나 살다보니 중간 냄비 대신에 큰 냄비에 끓여 남으면 다음날에 별다른 수고 없이 끼니를 때울 수 있다. 그런데 영양분 감소에는 전혀 관심 없고 냄비 채로 다시 데우는 남편이 못 마땅하다. ㅎㅎㅎ
|
|
어느 날 12살 딸아이가 이베이로 물품을 사달라고 졸라대었다. 현금으로 살 수 없고 신용카드로 구입할 수 있으니까 부탁했다. 비용도 자기가 내겠다고 했다. 아직 부모가 한 번도 이베이를 통해 물품을 구입하지 않았는데 이제 12살 딸아이가 구입하겠다고 하니 이상했다. '아, 우리 부부는 이제 구세대가 되었구나!'라고 하면서 딸아이의 부탁을 끝내 들어주기로 했다.
"무엇을 사려고 하는데?""실을 사고 싶어.""리투아니아에서도 실을 살 수 있잖아.""그런데 여긴 실 색이 그렇게 많지가 않아.""그냥 적더라도 만족하면 안 될까?""다양한 색으로 실팔찌를 만들고 싶어.""그래. 알았다."
이렇게 해서 이베이에서 딸아이는 난생 처음으로 물품을 구입하게 되었다. 주문한 지 1주일후부터 딸아이 요가일래는 아파트 입구 안쪽에 마련된 우편함을 매일 확인했다. 소포가 왔음을 알려주는 우체국 통지서를 학수고대했다. 2주가 지나고, 3주가 지나도 물품은 오지 않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송지가 중국이라 점점 기대하는 마음이 사라졌다. 그냥 생돈을 날린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편할 것 같았다. 하지만 다행히 한 달후 소포가 마침내 도착했다.
요가일래는 수많은 실 색상 앞에 넋이 나갈 정도로 기뻐했다.
|
이렇게 실을 구입한 이유는 바로 실팔찌를 만들기 위해서다. 유튜브 영상을 통해 실팔찌를 짜는 방법을 터득한 요가일래는 시간이 나는 대로 실팔찌를 짜고 있다. 모양을 구상하고, 그 방법을 찾는 것이 복잡하지만 일단 이를 찾으면, 그 다음부터는 반복적으로 해야 하는 단순한 작업이다. 옆에서 지켜보니 인내심과 평정심을 키우는데 참 좋은 것 같았다.
실팔찌를 만들어 자기 팔을 장식하기도 하고, 선물을 하기도 한다. 아래는 직접 만든 실팔찌를 미국에 살고 있는 친구에게 보내려고 상자에 담았다.
* 이베이에서 구입한 실로 실팔찌를 만들어 팔에 장식하고 어제 피아노 연주를 한 요가일래
자꾸 짜다보니 실팔찌의 문양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주변에 실팔찌를 만들어 달라는 사람들도 생겼다. 힘들지만 스스로 만들어 주는 선물이라 더욱 값지다. 이럴 줄 알았으면 사달라고 조로기 전에 색실을 빨리 사줄 것을 아는 아쉬운 마음이 든다. 이베이를 통해 또다시 색실을 사달라고 하면 이제는 두 말하지 말고 우리 비용으로 사줄 준비가 되어 있다.
|
|
* 동전 피라미드 아이디어를 낸 두 대학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