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운동 중 우리 가족과 가장 친근한 운동은 축구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내의 조카 둘이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 선수이자 프로 축구선수이기 때문이다. 이들 둘은 형제이다. 축구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부모 밑에 태어난 이들은 어릴 때 조그마한 지방도시에서 마땅하게 놀거리가 없어서 축구를 차기 시작한 것이 오늘을 있게 했다.
"어릴 때 가까운 일가 친척으로부터 저 좋은 조언이나 누군가로부터 더 훌륭한 지도를 받았떠라면 지금보다 훨씬 더 좋은 선수가 되었을 텐데"라는 말을 이들로부터 종종 듣는다. 이제 이들은 모두 아들을 두고 있으니 이 아들들은 아버지보다 더 낳은 환경에서 축구를 시작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어린이가 스스로 꿈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꿈을 키워주고, 이루도록 옆에서 자극을 해주는 일은 한 때 어린이였던 어른들이 해야 할 몫이다. 이런 일에 삼성이 앞장섰다.
최근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유명 축구클럽 첼시의 유소년 팀과 함께 삼성이 "드림 드 블루스 캠페인"(Dream Blues Campaign)은 두 번째 시즌을 시작했다. 이는 9살에서 13살까지 축구를 사랑하는 유소년들이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해 처음으로 도입한 "드림 드 블루 캠페인"은 첼시 방식으로 첼시팀 청소년 코치들과 함께 어떻게 축구를 하는 지를 배우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유소년들은 나이별로 기술 훈련과 미니 게임을 통해 자신의 공 다루기, 골 넣기, 공 몰기, 공 전해주기 등의 능력을 키울 것이다.
올해 중국, 베트남, 콜롬비아에 있는 삼성-첼시 축구클럽 유소년 현지 캠프에서 세계 각국으로부터유소년들이 페르난도 토레스(Fernando Torres), 에덴 아자르(Eden Hazard) 그리고 존 테리(John Terry) 같은 첼시 유명 선수들을 만나서 함께 축구할 수 있는 일생에 한번 있을까 말까하는 기회를 갖는다.
삼성 드림 블루 캠페인은 삼성-첼시 유소년 축구캠프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2007년 이래 전세계 5000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았다. 이 캠페인을 통해 더 많은 유소년들이 자신의 꿈을 키우고 실현할 수 있길 바란다.
딸아이가 자람에 따라 방 벽면이 포스터나 사진으로 장식이 되고 있다. 더 어렸을 때에는 텅 비어 있었는데 만 10살 때부터 가수들 사진이 붙여져 있다. 강남스타일이 한창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을 때에는 싸이 포스터가 있었다.
그런데 지난 여름부터 딸아이의 우상이 바꿨다. 새로운 우상은 원 디렉션(One Direction)이다. 나도 이때 처음 알았다. 영국인 리암 페인, 제일 말리크, 해리 스타일스, 루이 톰림슨과 아일랜드인 나일 호란으로 구성된 5인조 남성 밴드이다.
아직 개봉되지도 않았던 기록 영화 "One Direction: This is us"를 보겠다고 난리를 쳐서 한 달 전에 표를 사기도 했다. 영화를 본 이후 원 디렉션에 홀딱 빠졌다. 그 후 방 네 벽면이 원 디렉션 포스터로 채워졌다. 잘 때 머리 쪽이 있는 벽면에도, 책상 앞 벽면에도, 전등 스위치가 있는 방문 벽면에도, 방문 벽 반대편 벽면에도, 심지어 책상 위에도 원 디렉션이다. 원 디렉션에 너무 집착하는 듯해서 걱정스럽다.
"아빠, 난 원디렉션하고 결혼할 거야."
"정말? 옛날에는 한국 사람하고 결혼한다고 했잖아."
"그건 옛날이지."
"아직 어린 데 벌써 결혼할 생각하면 너무 빠르다."
"친구들도 벌써 정했어."
"아빠, 저기 원 디렉션 중에 누가 제일 잘 생겼어?"
"글세, 왼쪽에서 두 번째."
"바로 그 사람이야."
"이 세상에 수 많은 언니들이 너처럼 저 사람하고 결혼하고 싶어할 거야"
"알아. 하지만 내가 이길 거야."
"어떻게?"
"저 사람이 나를 좋아할 수 있도록 내가 저 사람보다 더 인기있는 사람이 될 거야."
"그래? 그럴 마음이라면 앞으로도 계속 그 마음을 가져도 되겠다. 네가 인기 있고 훌륭한 사람이 되어야 저 사람이 너를 쳐다볼 확률이 높지."
한편 엄마도 걱정스러워했다.
"우린 네가 너무 원 디렉션에 관심을 두는 것이 싫어."
"왜?"
"부모나 공부 대신에 네가 너무 원 디렉션에 푹 빠지기 때문이다."
"난 이제 아이가 아니고, 점점 자라고 있어.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가져야 된다고."
"엄마 어린 시절에는 모든 엄마 또래 아이들이 리투아니아 농구 영웅 사보니스의 아내가 되길 꿈꾸었다. 그런데 봐! 아니잖아. 아내는 딱 한 사람이야. 그러니까 이제 12살 네가 그런 꿈을 가지는 것은 너무나 비현실적이다. 그 허황된 꿈을 버리고 학교 생활을 열심히 하는 것이 좋겠다."
아내와 딸의 대화를 전해듣고 아내에게 말했다.
"어느 하나를 두고도 부정적으로 조언할 수 있고, 긍정적으로 조언할 수 있다. 비현실적인 꿈이라도 어떻게 활용하는냐에 따라 좋은 결과를 나을 수도 있으니까 우린 앞으로 그렇게 딸아이를 키우자."
"당신 말이 맞지만, 그래도 허황된 꿈은 일찍 깨우쳐주는 것이 내 경우를 봐서는 좋다고 생각해."
"그렇다면 당신은 당신대로, 나는 나대로 가르치면서 딸아이가 스스로 터득해 나가게 하는 좋겠다."
일반학교에서 돌아온 후 잠시 쉰 딸아이는 음악학교에 가려고 현관문으로 향하고 있었다. 딸아이 귀에는 MP3 수신기가 꽂혀 있었다.
"너무 자주 노래를 들어으면 재미 없잖아. 오늘은 MP3 플레이어를 가지고 가지 마라."
"안 돼. 원 디렉션 음악을 들으면 내 마음이 좋아져."
"그러면 아빠 말도 조금 들으라. 알아서 적당하게 들어라."
사실 딸을 둔 어느 아빠들처럼 나도 모질지가 못하다. "음악없이 살 수 없다"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딸아이, 만약 혹시 훗날 가수가 된다면 듣는 이들에게 긍정적인 영감을 주는 가수가 되길 바란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로 태어난 딸아이(만 10살)는 누가 언제 묻더라도 대답은 동일하다. "나는 한국인 사람이자 리투아니아 사람이다." 생활 근거지가 리투아니아라 한국을 접할 수 있는 주된 창구는 아빠이다. 딸아이를 지켜보니 한국에 관해서 아빠가 싫어하거나 좋아하지 않을 것 같은 내용은 가급적 언급하지 않으려고 한다.
일전에 아빠와 둘이서 한국을 방문하면서 느낀 첫 소감을 엄마에게 말한 것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엄마, 내가 아빠에게 정말 솔직하게 한국에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라고 말했어."
지하철이나 거리나 사람들이 북적대서 불편함을 느낀 딸아이의 인상이었다. 아빠에게 "한국에는 사람이 너무 많다."라고 말하는 것이 조심스러웠던 것이다. 그래서 딸아이는 "정말 솔직하게"라는 표현을 붙었다.
어제 아침 학교에 가기 전 부엌에서 두 모녀가 아침을 먹으면서 이런 대화를 했다고 아내가 전해주었다.
"엄마, 내가 크면 한국 여자들처럼 살고 싶어."
"어떤 점이 좋아서 그렇게 생각하는 데?"
"한국 여자들은 일하러 가지 않고 집에 있잖아."
"그럼 죽을 때까지 누가 먹어살리나?"
"남편이지."
"남편이 먼저 돌아가면 어떻하지?"
"그러게."
"남편이 아내보다 더 늦게 돌아가도록 신(神)과 계약할 필요가 있겠다."
"엄마, 신과 어떻게 그런 계약을 할 수 있어? 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
"평생 일하지 않아도 먹고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남자를 남편으로 맞이하는 것이지."
"그럴려면 어떻게 해야지?"
"지금부터 열심히 공부하고 바르게 살다보면 그런 남자를 만날 수 있지."
"그래도 어려울 것 같은데. 그냥 나도 크면 엄마처럼 일하고 살아야겠다."
"그래. 그게 정답이야!"
이 대화를 전한 아내에게 말했다.
"일하는 한국 여자들도 많이 있다고 당신이 딸아이의 생각을 고쳐주었어야지."
"아마 주변 한국 여자들과 한국에서 만난 여자들이 집에 있는 것을 보고 그런 인상을 받은 것 같아."
▲ 얼마 전 덕숭궁에 찍은 사진. 꿈을 그리는 모습이라면서 딸아이가 아주 좋아하는 사진이다.
초등학교 담임 선생님도 여자, 엄마를 비롯해 음악학교 선생님들도 모두 여자인 환경 속에서 딸아이가 배우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일하지 않고 사는 것으로 딸에게 비친 한국 여자들이 부러움으로 다가온 것 같다. 하지만 일생을 일하지 않고 편하게 살고 싶어하는 딸의 이런 꿈은 신(神)과의 계약, 부자 남자 만나기 등의 엄마 주장에 부서지고 말았다.
딸아, 부모 의지, 남편 의지 그리고 자녀 의지에 벗어나 꼭 자립하는 여자로 살기 바란다.
7박 8일 동안 병원생활을 한 후 지난 월요일 집으로 돌아왔다. 누구나 그렇듯이 전신마취를 두 서너 시간한다는 말에 가장 두려움이 앞섰다. 마취 후 의식회복이 걱정이었다. 병원생활을 위해 간단한 짐을 챙겨 집을 나서기 전 다시 건강을 회복해 돌아오기를 간절히 기도했다.
이 날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이 방 저 방을 천천히 둘러보았다. 눈에 띄게 달라진 것은 병원입원하기 며칠 전에 딸아이 요가일래와 함께 심은 파 씨앗이 싹을 돋아나고 있었다. 그리고 발코니에는 튤립이 막 자신의 파란 몸둥아리를 내밀고 있었다.
가족이 모여 집안에 일어난 대소사를 이야기했다. 모든 이야기의 압권은 요가일래가 차지했다. 3월 10일 음악학교에서 3월 11일 국가독립선포일 기념 연주회가 열렸다. 이 때 요가일래가 노래 공연을 했다. 이 날 밤 언니 마르티나는 사촌언니와 함께 놀려가 새벽에 돌아왔다. 아내는 이들을 걱정하느라 제대로 잠에 들 수가 없었다.
이때 옆에서 곤히 잠자고 있는 요가일래가 갑자기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잠자는 동안 요가일래가 중얼거리거나 말을 하는 경우는 흔하다. 몇 음절로 끝날 것으로 엄마는 생각했는데 요가일래는 노래 한 곡 전체를 다 불러 엄마를 깜짝 놀라게 했다.
"야, 너 왜 노래해?"
라고 아내는 자는 요가일래에게 말을 걸었다.
"라사 선생님이 목소리를 확인하기 위해 노래를 하라고 했어."
라고 요가일래는 자면서 대답했다.
▲ 3월 10일 음악학교 연주회에서 노래공연하는 요가일래 (사진촬영: 요가일래 엄마)
잠에서 부른 노래는 바로 전날 저녁 연주회에서 부른 노래였다. 아침에 일어난 엄마는 요가일래에게 밤에 일어난 잠 속의 노래하기를 이야기했다. 둘이서 배꼽을 잡고 한참 동안 웃었다고 한다.
"아빠, 이 이야기를 블로그에 써.""그런데 네가 노래하는 현장 장면이 없어서 생생하지 못할 것 같다." "아빠, 내가 누워서 자는 척하고 노래를 부를 테니 촬영해." "그렇게까지 연출할 필요는 없다!"
라고 아내가 끼어들었다.
"엄마, 왜 안돼? 재미있잖아! 아빠, action!"
나도 자면서 중얼거리나 헛소리나 횡설수설을 종종 하곤 한다. 하지만 요가일래처럼 정확한 문장을 길게 말하거나 노래를 끝까지 부른 적은 없는 것 같다. 딸아이에게 재미난 추억거리가 될 것 같아 비록 재현이지만 영상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