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얘기2013. 11. 4. 12:58

11월 1일은 유럽 사람들에게 각별한 날이다. 많은 나라들이 이날을 국경일로 정해놓았다. 이날은 "모든 성인의 날"의 날이고, 다음날은 "망자의 날"이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1일과 2일을 구별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벨리네스’라 부른다. ‘벨레’는 영혼, ‘벨리네스’는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날’을 뜻한다. 

죽은 사람 영혼을 추모하는 이 풍습은 고대로부터 내려왔는데, 죽은 이들의 영혼이 특정 시점에 사후 세계를 떠나 가족을 방문하러 돌아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틀 동안 일가 친척의 묘를 두루 방문한다. 

* 11월 1일 낮(왼쪽 사진)과 밤(오른쪽 사진)

우리의 추석을 떠올리게 한다. 사람들은 미리 시간을 내서 부모나 조상의 묘를 찾아서 정성껏 꽃단장을 하고 말끔하게 정리한다. 11월 1일 다시 묘를 찾아 촛불을 밝히면서 추모하고 염원한다. 

* 11월 1일 묘지는 불야성을 이룬다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슬픈 망자의 날을 보냈다. 지난해 연말 처제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처음으로 맞는  망자의 날이었다. 가장 슬픔에 복바치는 사람 중 한 사람이 바로 장모님이시다. 

이날은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조상의 묘가 있는 고향을 찾는다. 일년 중 가장 도로가 막히는 날이기도 하다. 우리 가족도 예외없이 장모님이 살고 계시는 지방 도시를 찾았다.



장모님은 고인이 된 딸을 못잊어 여전히 눈물로 세월을 보내신다. 거실에는 딸의 영정을 놓고 늘 촛불을 밝히면서 추모하고 있다. 이날도 장모님은 수시로 눈물을 훌쩍였다. 딸아이도 함께 있었다.

"너무 오랫동안 슬퍼서 우는 것은 좀 그렇다."
"나도 그래. 좋은 데 갔는데 울면 안 되지."
"그래. 나중에 아빠가 나이가 정말 많아서 죽으면 너는 울지 말고 웃어라. 아빠가 세상의 힘듬을 버리고 편안하게 쉬러가는데 울면 안 되잖아."
"알았어. 그런데 죽는다고 하면 안 되잖아. 돌아간다라고 해야지."
"맞다."

어릴 때부터 딸아이에게 가르친 효과가 나타났다.

"동물은 죽는다. 사람은 돌아간다. 살고있는 모든 것은 때가 되면 사라진다."

며칠 전 친척집 개가 나이가 너무 많아 안락사 당했다. 친척 식구 모두 아직도 힘들어 한다. 슬퍼는 하지만 그 슬픔에 완전히 빠져 자기 건강을 훼손하거나 해오던 일을 할 수 없을 정도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우리 집 애완동물은 햄스터이다. 수명이 있으니, 그때를 위해 보내는 마음 훈련을 종종 딸아이에게 티가 나지 않게 시키고 있다. 

'좋은 데 갔는데 울면 안 되지"라는 말을 상기시켜야겠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0. 4. 15. 05:11

4월 10일 폴란드 레흐 카친스키 대통령의 전용기가 러시아 스몰렌스크에서 추락해 탑승자 전원(96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지금껏 비행기사고로 사망한 세계 각국의 대통령은 아래와 같다. (참고글: 례투보스 리타스 4월 12일 신문)

1. 필리핀 대통령 라몬 막사이사이 (Ramon Magsaysay)
1957년 3월 17일 세부 섬에서 비행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볼리비아 대통령 르네 바리엔토스 (René Barrientos)
1969년 4월 27일 코차밤바 지방에서 헬리콥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에과도르 대통령 하이메 돌도스 (Jaime Roldós Aguilera)
1981년 5월 24일 로하 지방에서 비행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파나마 대통령 오마르 토리호스 (Omar Torrijos)
1981년 7월 31일 비행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모잠비크 대통령 사모라 마셜 (Samora Moisés Machel)
1986년 10월 19일 남아공화국 상공에서 비행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파키스탄 대통령 무함하드 지아 울 하크 (Muhammad Zia-ul-haq)
1988년 8월 17일 비행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르완드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Juvénal Habyarimana)
1994년 4월 6일 비행기 격추로 사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8. 부룬디 대통령 시프리앙 은타랴미라 (Cyprien Ntaryamira)
1994년 4월 6일 비행기 격추로 사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9. 마케도니아 대통령 Boris Trajkovski
2004년 2월 26일 보스니아-헤르체고비아에서 비행기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10. 폴란드 대통령 레흐 카친스키
2010년 4월 10일 러시아 스몰렌스크 추락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흔히 한국에서는 4월을 잔인한 달이라 부른다. 위에서 보듯이 비행기사고로 사망한 대통령 가운데 4명이 4월에 사망했다. 여기에도 역시 4월은 잔인한 달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0. 2. 8. 06: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수요일 저녁 무렵 학교에서 근무하는 아내로부터 전화가 왔다. 내용은 "할머니의 쌍둥이 여동생이 방금 돌아가셨다."라는 비보였다. 이날 우리집은 가족회의를 했다. "조문을 가야 하나? 아니면 조화만 보낼 것인가?" 장례가 열리는 곳은 살고 있는 도시 빌뉴스에서 250km 떨어져 있다.

갈 수 없는 이유는 먼저 아내는 금요일 학교에서 수업을 해야 하고, 두 딸은 학교에 가야 한다. 목요일 수업을 마치고 가면 어두운 밤이 되고, 영하도 10도이다. 또 다른 이유는 다음 주말에 같은 도시에 살고 있는 처남의 45주년 생일에 초대를 받아 가기로 이미 결정했다.

가야 하는 이유는 할머니의 쌍둥이 여동생이니 평소에 친분이 두터웠다. 떠나는 마지막 길을 가까이에서 작별하는 것이 자손의 도리라고 여겼다. 살아있는 사람의 기념일은 다시 오지만, 돌아가신 분의 장례일은 일생에 단 한 번 밖에 없다. 이렇게 식구들이 의견을 모으니 갈 수 없는 모든 이유가 사라졌다. 수업을 다른 날로 옮기고, 학교는 선생님에게 연락해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돌아가신 할머니는 88세이다. 지난 여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에 입원했다. 얼마 후 상태가 호전되어 집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다. 장모님이 전하는 임종 순간은 이러했다. 성수(聖水)로 얼굴을 적시고, 임종을 지켜보는 딸에게 "나 이제 나간다"라고 말하고 아주 편하게 호흡을 멈추었다(한국 사람들은 '죽는다'를 '돌아간다'라고 표현하는 데 비해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나간다'라고 표현한다). 크게 아프지 않고, 의식이 두렷한 채로 생을 마감하는 것은 참으로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목요일 저녁 무렵 장례예식장에 도착했다. 조화를 관 주위에 놓고 우리 가족은 묵념을 하고 기도했다. 그리고 아내는 상주에게 가서 조의금을 전달하고 위로했다. 관을 열어놓아 돌아가신 분의 얼굴을 훤히 볼 수가 있다. 태어나서 장례식을 처음 경험해보는 8살 딸아이는 무섭다면서 가까이 가기를 꺼려했다. 일가친척과 지인들은 주로 묵상, 기도로 장례식장에서 보낸다.

그런데 가느다란 흐느낌은 종종 들리지만, 오열과 통곡소리는 전혀 없었다. '아이구, 아이구, 아이구" 소리에 익숙한 귀에 장례식장의 적막함에는 얼핏 보기에 떠나보내는 사람들의 슬픈 감정을 느낄 수가 없는 듯했다. 하지만 슬픈 감정이 어떻게 통곡의 높낮이로 측정할 수 있을까 생각하니 이해가 되었다. 떠나가는 이가 통곡소리에 발이 묶여 쉽게 떠나가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통곡 대신 회상, 묵상, 기도 등으로 떠나가는 이가 이승에 애착 없이 편히 떠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 여긴다.

리투아니아도 3일장을 치룬다. 고인의 명복을 빌면서 리투아니아 장례 모습을 사진에 담아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가톨릭 신부의 발인 기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조화를 들고 관을 기다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네 명의 장정이 관을 옮기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땅을 판 깊이가 약 2m. 중간 지점에 소나무 가지와 꽃을 매달아놓은 것이 특이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장례예식장에서 사용했던 초도 같이 묻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땅을 파묻고 있는 동안에도 통곡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꽃을 봉문에 놓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마지막 기도를 하고 있는 참가자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꽃으로 덮힌 봉분 밑에 망자는 이제 영원한 육신의 안식을 취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망자를 뒤로한 채 살아있는 사람들은 일상생활로 돌아가고 있다.

"사람은 태어나면 돌아간다. 알았지?"라고 8살 딸아이에게 장례식장에서 소근거렸다.
"엄마, 아빠, 언니도?"
"당연하지."
"언제?"
"나이가 들면."
"그렇게 오래 기다려야 돼?" (요가일래 증조모는 88세로 건강함. 모두가 오래 산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오래 오래 같이 행복하게 살다가 헤어지고 또 만나는 거야."

* 최근글: 다리가 귀걸이를 한 특이한 풍경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