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래 | Korea Kantaro2022. 11. 18. 22:40

Koreaj Kantoj en Esperanto | Korea Kantaro en Espperanto | Korea Populara Kanto

한국인들이 애창하는 노래를 틈틈이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고 있다.

그동안 번역한 노래를 수록한 책이 2022년에 발간되기도 했다. 

 

[최종번역]
작사 유호 | 작곡 박시춘 | 노래 남인수 | 번역 최대석
 
이별의 부산 정거장
Disiĝas Busan-stacidomo 
 
보슬비가 소리도 없이 이별 슬픈 부산 정거장
Eta pluvo falas sen la son' en disiĝa Busan-stacidom'.
잘가세요 잘있어요 눈물의 기적이 운다
"Bone iru", "Ĝis revido", eksonas larma trajna korn'.  
한많은 피난살이 설움도 많아
Vivo rifuĝa estis plena de rankor',
그래도 잊지 못할 판자집이여
sed tamen ja ne forgeseblas paneldom'.
경상도 사투리에 아가씨가 슬피우네
Kun Gjongsando-dialekt' junfraŭlino ploras en morn'.
이별의 부산 정거장
Disiĝa Busan-stacidom'!
 
서울 가는 십이 열차에 기대 앉은 젊은 나그네
En la trajno Dek Du al Seul' kline sidas juna vojaĝul',
시름없이 내다보는 창밖에 등불이 존다
li sen zorgo elrigardas; ekstere dormas lampolum'.
쓰라린 피난살이 지나고 보니
Vivo rifuĝa kun korŝiro pasis jam,
그래도 끊지 못할 순정 때문에
sed tamen ja ne ĉesigeblas pura am'.
기적도 목이 메어 소리 높이 우는구나
Do, raŭkas eĉ trajna korn' kaj ekfajfas en alta son'.
이별의 부산 정거장
Disiĝa Busan-stacidom'!   

 

 

가기 전에 떠나기 전에 하고싶은 말 한마디를
Antaŭ iro kaj veturo for, ununuran vorton por parol'
유리창에 그려보는 그 마음 안타까워라
surfenestre la kor' skribas; ho, kia bedaŭrinda kor'!
고향에 가시거든 잊지를 말고
Vi ne forgesu post alveno al hejmlok',
한 두자 봄소식을 전해주소서
sed sendu la novaĵon eĉ kun unu vort'.
몸부림 치는 몸을 뿌리치고 떠나가는
Forpuŝas korpon kun tord' kaj veturas la homo for'.
이별의 부산정거장

Disiĝa Busan-stacidom'!

에스페란토_이별의_부산정거장_남인수.pdf
0.07MB

최종번역 2022-01-04

악보작업 https://blog.daum.net/rg8585/16139326

악보작업 https://m.blog.daum.net/minu0syung2/2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15. 3. 4. 07:29

이곳 유럽의 여러 도시 거리와 한국의 도시 거리와 다른 모습 중 하나가 길거리 음식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주변 현지인들을 살펴보면 일상 생활에서 이들에게 간식이 낯설다는 것이다. 우리 집만 해도 간식이 없다. 하루 세끼가 전부인 날이 대부분이다. 

배가 정말 고프면 중간에 과일이나 아니면 우리 나라의 건빵 비슷한 것과 차나 커피를 마신다. 행여 종종 중간에 무엇이라도 좀 넉넉하게 먹으려고 하면 "조금 후에 밥 먹을텐데..."라고 아내가 말린다. 

이번 한국 방문에서 부산을 다녀왔다. 모처럼 온 손님이라 지인들이 식당에 가서 저녁을 먹자고 제안했다. 호의가 고마웠지만, "어묵으로 하자"라고 해서 이날은 길거리에서 어묵으로 맛있게 저녁을 해결했다. 

낮에는 자갈치시장을 거쳐 국제시장을 둘러보았다. 시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시장 거리에 줄 서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눈이 띄였다. 영문을 몰랐다.

"저기 웨 사람들이 서 있지?"
"호떡 먹으려고."
"아니, 얼마나 호떡이 맛있어서 저렇게 줄을 섰을까?"
"씨앗호떡."
"그게 뭔데?"
"먹어보면 왜 줄 서있는 지를 알게 돼."         
 


이렇게 해서 씨앗호떡이 이 국제시장의 명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지런히 아저씨는 호떡을 굽고, 아주머니는 씨앗을 채워넣었다.



일행이 있어 씨앗호떡을 10개를 샀다.  



마침 쌀쌀한 날씨라 손에 쥔 호떡의 온기가 먼저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혹시나 혀나 입천장이 델까 호~호 불면서 입에 넣었다. 쫄긴쫄긴한 호떡에 입안에서 씹히는 쪼개진 씨앗이 정말 맛있었다. 




이렇게 맛있을 줄 알았으면 한 사람당 두 서너 개를 더 살 것을... 
길거리 간식에 익숙한 유럽 사람들이라면 씨앗호떡을 유럽에 도입 장사해도 되지 않을까...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5. 2. 28. 09:47

지난 1월 한국 방문 때 전혀 색다른 음악을 접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시절 국어 고전 문학 시간에 배웠던 향가를 되새기게 되었다.
그런데 이번엔 글이 아니라 노래였다. 


부산에서 열린 국제어 에스페란토 행사에 향가가 소개되었다. 
정말 멋진 일이었다. 
함께 동석한 외국 에스페란토인들에게 1300여년전 한국의 향가를 알려주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
행사측에 감사를 드린다.  

지은이 충담사는 신라 경덕왕 (?-765) 때의 승려이다.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 미른세존에게 드리는 차를 끓여 
왕에게 권하고 향가 <안민가>을 지었다고 한다.  

지음: 충담사 
노래: 김다금 

임금은 아비요, 
신하는 자애로운 어미요, 
백성은 어린 아이라 한다면 
백성이 사랑받음을 알지니. 
구물거리며 살아가는 백성들 
이들을 먹여 다스려져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갈 것인가 한다면 
나라 안 다스려짐을 알 것인가 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한다면 
나라가 태평하나이다.


모두가 자기답게에 충실한다면 개인, 가정, 사회, 국가, 세계가 그야말로 태평할 것이다. 
오늘은 토요일답게 덜 일하고 가족과 함께 봄기운 느끼려 산책가야겠다. ㅎㅎㅎ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5. 1. 29. 08:05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도시간 이동하는 데 가급적이면 고속버스를 타지만 한 두 번은 KTX를 타게 된다. 이번에는 함께 여행한 러시아인 에스페란토 친구에게 한국에서 가장 빠른 열차를 꼭 태워주고 싶었다. 


"이제 한국에서 가장 최고로 빠른 고속열차를 탈 거야."
"얼마나 빠른데?"
"시속 300킬로미터."
"우와~"
"전 구간이 그런 것은 아니고 일부 기간만이고 보통 시속 170-200킬로미터."
"평균 300-400킬로미터는 돼야 고속이라 할 수 있지..."
"맞는 말이다."

이렇게 해서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고속열차 KTX에 올랐다.
자리에 앉자마자 이 외국인 친구는 서울과 부산간의 거리가 궁금했다.

"서울까지 몇 킬로미터이지?"
"약 400인데 승차권에 정확한 거리가 표시되어 있는지 한번 확인해볼게."

열차승차권을 꼼꼼히 다 살펴봐도 이동구간 거리표시는 없었다. 있을 법한 사항인데 없으니 아쉬웠다.


주변을 둘러보고 좌석의 팔걸이를 보니 눈살이 절로 찌푸려졌다. 선진국 한국의 대표적인 상징물 중 하나인 고속열차 KTX의 좌석 상태가 이 정도라니 도저히 믿어지지가 않았다. 너무 닳아서 헤어져 속이 다 드러났다. 옆에 앉은 외국인 친구에는 그냥 아무런 일이 없는 듯 태연하게 대했다. 



청결 민감하는 사람이라면 팔걸이에 편하게 팔을 걸 생각이 달아날 듯했다. 낯선 곳에서 약점이나 불만 사항을 찾으려는 사람들에게 딱 걸릴만한 사항이다. 

한편 1달 전 오랜만에 타본 리투아니아 급행열차의 좌석이 떠올라 한번 비교해보았다. 

▲ 한국 KTX리투아니아 급행열차

한국 철도교통의 상징적인 얼굴 KTX의 빠름보다 다 닳아져 헤어진 좌석이 내 뇌리에 더 오래 남는 기차여행이었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4. 26. 06:05

최근 인터넷에 퍼지고 있는 아이(17세)의 등에 멍 자국이 수두룩한 사진이 분노심을 자극시킨다. 부산 있는 한 국공립 어린이집이라고 한다. 친구가 때려서 생긴 멍이라고 담임이 말했다고 한다. 과연 진실일까?

* 부산의 한 국공립어린이집 원생의 멍 자국이 누리꾼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아이를 둔 아버지로 이 아이 부모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한다. 이후 뉴스를 접하니 어린이집 여고사들이 때린 것으로 밝혀졌다. 

유치원을 다닌 딸에게 물어보았다. 
"너도 어린이집에서 맞아봤니?"
"딱 한번."
"왜?"
"낮잠 자는 시간에 자지 않는다고."

최근 리투아니아 국회는 학교든 집이든 때려서 가르치는 것 자체를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가정에 부득이한 경우 부모는 대개 자신의 신체 일부를 사용하는 것 대신 혁대로 엉덩이를 때린다. 그래서 아이들은 부모보다 바로 이 혁대를 더 무서워한다. 

아래는 현재 리투아니아 거리에 세워져 있는 공익 광고다.


때려서 아이를 가르치는 것은 혁대로 자동차를 수리하는 것과 같다. 때림 없는 가정이나 사회에서 자란 아이는 커서도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때림 없는 가정, 때림 없는 어린이집, 때림 없는 학교, 때림 없는 사회가 하루 빨리 정착되길 기원한다.

Posted by 초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