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빌뉴스 구시가지
|
|
|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빌뉴스 구시가지
|
|
|
|
유럽 사람들의 1년 휴가일은 일반적으로 24일이다. 이를 한꺼번에 다 사용하지 않고 나누는 사람들이 많다. 여름철에 2주일, 겨울철에 2주일이다. 리투아니아 학교 교사들은 2달 정도 출근하지 않는다. 6월에 3달치 월급을 다 받는다. 이 목돈으로 휴가를 다녀오는데 도움이 된다. 물론 다 써버린다면 이어지는 달에는 허리를 졸라매면서 살아야 한다.
주변 친구들은 대개 해변을 찾아 남유럽 등지로 여름 휴가를 간다. 그런데 우리 가족은 여름철에 어디 가는 것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리투아니아는 여름철이 시원하다. 그러니 이런 나라를 떠나 햇볕이 뜨거운 나라에 가서 고생해야 할까라는 의문에 가족 모두 동의하기 때문이다.
우리 가족이 선호하는 휴가 시기는 10월말과 11월초이다. 특히 10월 초순부터 날씨는 일교차가 심하고. 춥다. 흐린 날도 많고, 비오는 날도 많다. 중앙난방 아파트 실내온도는 급격하게 떨어진다. 실내온도가 15-17도이다. 두꺼운 양말, 실내화 등이 필수이다. 이런 때 영상 20도의 나라는 꿈의 나라이다.
올해 우리 가족이 선정한 휴가지는 스페인의 카나리아 제도이다. 2년 전 이곳의 그란크나리아 섬에서 휴가를 보냈는데 쾌청한 날씨와 적합한 온도가 무척 인상에 남아 올해도 이곳으로 정했다. 하지만 다른 섬이다. 란사로테와 푸에르테벤투라이다.
해외여행 준비 단계에서 가장 큰 화두는 짐이다. 무엇을 챙겨갈까... 여행자에게 가방의 무게는 가벼우면 가벼울수록 이동에 편리하다. 리투아니아는 겨울철에 접어들고 있지만, 여행지는 일년 내내 비슷한 여름철이라 얇은 옷을 챙기면 된다.
3벌 이상은 가져가지 않기로 했다. 읽을 책, 번역할 자료, 비상약, 노트북 등을 챙겼다. 카메라 등과 함께 다 넣으니 책가방 하나에 들어갔다. 옷은 잘 펴서 놓고 그 위에 양말을 얹었다. 둘둘 말아서 나중에 양말 안으로 속 집어넣었다. 이렇게 하니 옷의 피부가 무척 작아졌다.
오늘은 옷 짐을 간단히 싸는 법을 소개했다.
이상은 초유스의 란사로테와 푸에르테벤투라 가족
여행기 1편입니다.
초유스 가족 란사로테와 푸에르테벤투라 여행기
1편 | 2편 | 3편 | 4편 | 5편 | 6편 | 7편 | 8편 | 9편 | 10편 | 11편 | 12편 | 13편 | 14편 | 15편 | 16편 | 17편 | 18편 | 19편 |
|
|
|
|
|
|
|
|
긴 크리스마스와 주말이 끝나고 다시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었다. 리투아니아는 국민 대다수(77%)가 로마 가톨릭교를 믿는지라 크리스마스 국경일은 3일이다. 24일, 25일, 26일이 쉬는 날이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어떻게 이 3일 휴가를 보냈을까? 따뜻한 남쪽 나라에서 휴가를 보낸 가족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우리집처럼 보냈을 것이다.
24일은 가족과 음식 만들기
크리스마스 전야 저녁 식사는 그야말로 만찬이다. 이날은 생선을 제외한 고기를 일절 먹지 않는다. 만찬 식탁에는 12가지 음식[관련글 읽기]이 올라온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주부 한 명이 일하기에는 힘이 든다. 그래서 온 가족이 함께 도와서 음식을 준비한다.
온 가족이 식탁에서 기도한 후 미사빵을 나눠먹는다. 이날은 편식하지 않고 12가지 음식을 고르게 먹는다. 식탁에는 혹시 방문할 사람을 위해 빈 의자, 빈 접시와 수저를 마련한다. 식사 후 식탁에 둘러앉아 지난 1년을 회상하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찬송가도 부른다. 이날은 식사 후에도 식탁을 치우지 않고 그대로 두는 집도 있다. 그리고 성당에서 열리는 밤 미사에 참가한다.
25일은 가족과 함께
25일 성당 미사에도 참가한다. 이날은 가급적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이날만큼 우리 가족은 모두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공동 놀이를 하기로 했다. 유럽 지도 놀이와 화투 놀이를 했다.
저녁 무렵이 되자 함께 했던 부엌이나 거실에서 식구들은 자기 방으로 한명씩 사라졌다. 낮에는 "오늘은 함께 놀아야 돼"라고 책망했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함께 놀기가 이젠 지루해"에 공감도가 높아져 갔다.
26일은 친구들과 함께
휴가 3일째는 주로 친구들을 초대하거나 초대에 응해 함께 시간을 보낸다. 평소 가깝게 지내는 친척 부부 한 쌍과 친구 부부 한 쌍, 그리고 이들의 딸과 남자친구를 초대했다. 어른이 모두 8명이었고, 나라는 4개국(한국, 리투아니아, 이집트, 스페인)이었다. 친척의 남편이 이집트 사람이고, 친구 딸의 남자친구가 스페인 사람이다.
먼저 탁구 놀이로 시작했다. 이어 찬 음식을 먹으면서 맥주나 포도주를 마시기 시작했다. 따뜻한 음식으로는 닭볶음탕을 준비했다. 식탁에서 가장 웃음을 선사한 것은 혀 꼬이게 하는 각 나라말의 문장이었다.
외국에서 흔히 접하는 질문 중 하나이다. 현지인들이 놀이삼아 질문한다. "너, 이 (리투아니아어) 문장을 따라할 수 있어? 한번 해봐! 해봐!"
잘하든 못하든 외국인의 시도에 현지인의 웃음이 터져나온다. 이런 경우에 가장 좋은 대응책은 이것이다. "그럼, 너희들은 내가 말하는 (한국어) 문장을 한번 따라해봐!"
혀 꼬이게 하는 문장
이날 모임에 나온 각 나라말 중 혀 꼬이게 하는 문장을 영상에 담아보았다. 순서는 아랍어, 리투아니아어, 스페인어이다.
제일 나중에 한국어 차례였다. 어렸을 때 친구들과 놀았던 문장을 소개했다.
간장 공장 공장장은 강 공장장이고, 된장 공장 공장장은 공 공장장이다.
이 문장에 모두가 대장대소했다. 이 한국어 문장이 4개 언어 중 가장 따라하기 어려운 문장으로 낙점되었다. 이런 즐거움과 유쾌함 속에 모처럼 빌뉴스 우리집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보낸 크리스마스였다. 그야말로 "즐거운 성탄절"이었다.
|
|
|
|
|
|
|
|
유럽 애들에게 놀림감 된 김밥 | |
딸아이의 첫 눈썹 메이크업에 웃음 절로 | |
유럽인 장모의 사위 대접 음식 | |
한국에 푹 빠진 리투아니아 여대생 | |
男心 잡은 리투아니아 슈퍼모델들 | |
라트비아 하지 새벽 알몸으로 달리기 | |
리투아니아의 한반도 지형 호수 |
|
|
|
|
대형 석유통으로 만든 사우나 | |
삼순이 양머리는 한국의 천재적 작품 | |
사우나에서 다가오는 여자로 난감했던 일 | |
세계 男心 잡은 리투아니아 슈퍼모델들 | |
한국은 위대한 나라 - 리투아니아 유명가수 |
|
|
|
|
대부분 리투아니아인들은 여름에 팔랑가를 다녀온다. 팔랑가는 발트해에 접해 있는 리투아니아 최대 여름휴양지이다. 팔랑가는 수도 빌뉴스에서 서쪽으로 350km 떨어진 곳이다. 왕복 700km, 기름값만 해도 솔찬히 들어간다.
|
|
|
|
외국에서 보내는 휴가 경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숙박비이다. 세계 각국의 경제위기로 많은 사람들이 휴가를 해외 대신에 국내나 집에서 보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값싸고 흥미롭게 해외에서 휴가를 보내는 사람들이 있다. 베를린에 사는 한 사람은 오래 전부터 해외에서 휴가를 보내는 데 호텔이나 임대 아파트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해외에서 휴가를 보낼 수 있을까?
<례투보스 리타스> 8월 14일자 기사는 새로운 휴가법을 소개하고 있다. 바로 "집교환" 휴가법이다.
이 "집교환"은 "내가 너 집에 머무르는 있는 동안 너가 내 집에 머무른다"라는 원칙 아래 두 가정이 서로 휴가를 위해 일정 기간 동안 집을 교환하는 것이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사는 사람 A씨가 자기 아파트 전체를 독일 베를린에 사는 사람 B씨가 사용하도록 한다. B씨는 A씨 집을 자기 집처럼 사용하면서 휴가를 보낸다. 한편 같은 시간 A씨도 B씨의 베를린 집을 자기 집처럼 사용하면서 휴가를 보낸다.
B씨는 자기가 베를린에서 어떻게 사는 지를 A씨에게 일러준다. 어디에 어떤 음식이 맛있고, 어디에 볼거리가 있고, 어디에 저렴하게 물건을 살 수 있고...... 이렇게 베를린에 온 A씨는 바로셀로나에서 휴가를 보내는 사람의 삶을 직접 체험한다.
이 기사를 읽은 아내는 "외국 친구들과 집교환해서 휴가를 보내는 법도 좋겠다"고 말했다. "외국친구가 온다면 같이 시간을 보내지 어떻게 집만 달랑 내어주고 우리가 그 집으로 갈 수 있을까?"라고 되물었다. 하지만 집교환운동에 참가하는 것을 같이 한번 고려해보자고 뜻을 모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