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얘기2014. 12. 26. 06:23

명절이라면 세계 어디든 제일 떠오르는 것 중 하나가 이동이다. 고향을 향해 '민족 대이동'이 펼쳐진다. 유럽에서 제일 큰 명절은 크리스마스다. 어른이 계시는 곳으로 이동한다. 리투아니아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이동에 있어서는 한국과는 사뭇 분위기가 다르다. 가장 큰 이유는 인구에 비해 국토 면적이 넓어서 대도시 근처를 제외하고는 교통 체증이 거의 없다.

그렇다면 대중교통수단인 기차는 명절 때 어떠할까?
먼저 한국은 사전예매 기간을 정해 표를 구입하게 한다. 몰려드는 귀성객들로 기차역은 혼잡하다. 수도 빌뉴스에서 250킬로미터 떨어진 지방 도시에 사는 장모님을 크리스마스 전야에 자가용으로 방문했다. 고속도로는 거의 평상시나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꼭 해야 할 일이 있어 어제 25일 다른 식구들을 놓아두고 혼자 집으로 돌아왔다. 이동수단으로 기차를 선택했다. 아무리 한산한 나라라고 하지만, 그래도 대명절인데 기차표를 쉽게 구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면서 조금 불안한 마음으로 기차 출발 25분 전에 역에 도착했다.


역 대합실은 사람들로 가득 차 있었지만, 표구입 창구에는 다섯 명이 줄을 서 있었다. 기차 출발 10분 전에 표를 구입했다. 모처럼 눈이 내렸다. 순간적으로 끝없은 평야와 울창한 자작나무 사이로 달리는 시베리아행 기차를 타는 기분이 들었다.


기차는 총 6량이었다. 사람들이 떼를 지어 각자의 호차로 갔다. 호차마다 역무원이 배치되어 입구에서 기차표를 확인하고 좌석번호를 일러주었다. 최초 출발역이 아닌지라 열차 칸에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있겠지라는 기대감으로 들어갔다.

웬걸...
뻥 뚫린 터널으로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명절에 이동하면서 인파 속에 파묻혀 고생할 일이 없어서 좋지만, 명색이 명절인데 이렇게 승객이 없어서야 철도 운영이 제대로 될까라는 의문이 일어났다. 텅빈 열차 칸이 뇌리에 각인된 후 또 다른 차이점이 눈에 들어왔다. 


바로 의자 배치다. 보통 열차 칸은 한 줄에서도 역방향과 순방향으로 의자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리투아니아 열차는 특이하다. 열차 칸 두 줄에서 한 줄 전체가 역방향이냐 순방향으로 의지가 마련되어 있다.


의자는 촌스러워 보이기도 하고 어딘가 위엄이 있어 보였다. 수년만에 처음 타본 열차였다. 예전에는 6인실 등 쿠페로 되어 있었는데, 이제는 열차 칸이 확 트여있다. 아뭏든 명절인데도 텅빈 열차 칸이 가장 인상 깊게 다가왔다.

Posted by 초유스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재미감탄 세계화제2013. 9. 19. 05:59

오늘은 음력 8월 15일 한가위이다. 페이스북(Facebook)이나 밴드(Band), 카카오톡(Kakaotalk) 등을 통해 친구나 지인들이 지방이나 서울로 추석을 쇠기 위해 떠난다는 소식을 접했다. 외국에 살다보니 가고 싶어도 갈 여건이 제대로 주어지지 않아서 아쉽다. 

추석 대이동으로 어느 곳에는 주차 공간이 텅비어 있을 테고, 어느 곳에서는 주차할 틈조차 없을 수 있겠다. 주차 공간 찾기가 어려울 때마다 한국에서 찍은 아래 사진이 떠오른다. 


바로 자기 집안 주차 공간 확보를 위한 사람이 꾀를 낸 위장술이다. 이웃은 알고 있겠지만, 낯선 사람들에게는 영락없이 구토물로 보일 것이다. 이런 구토물에 자신의 깨끗한 차를 주차시킬 사람은 없을 테니까 말이다. 

최근 폴란드 누리꾼들 사이에 화제가 된 주차 공간 확보를 위한 또 다른 꾀를 엿볼 수 있는 사진을 접해 소개하고자 한다.


외계인이 주차할 수 있도록 마련한 공간이니 주차하지 말라는 뜻이다. 외계인을 믿고 존중하는 사람은 주차를 꺼릴 것이고, 외계인의 존재를 믿지 않는 사람은 그냥 편하게 주차할 수도 있겠다. 아뭏든 재미난 발상이다.

Posted by 초유스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