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의 고문도구에서 보듯이 중세 유럽사람들은 오늘날과 같은 과학수사를 통한 범죄입증과는 달리 고문을 통한 피의자의 자백에 의존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어제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서쪽으로 25km 떨어진 트라카이에서 열리고 있는 중세축제에 다녀왔다. 이 축제가 마련한 중세시대 놀이를 지켜보았다.
먼저 무거운 투구를 쓴다.
|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
방에서 그림을 그리거나, 베란다에서 그네를 타거나, 컴퓨터로 놀이를 하는 딸아이 요가일래는 가끔 묻는다. "아빠는 어렸을 때 무슨 놀이를 했는지 궁금하다. 아빠, 어떻게 놀았어?"
"아빠는 어렸을 때 시골에 살았는데 놀이는 참 많았지. 팽이치기, 재기차기, 땅따먹기, 구슬치기, 전쟁놀이, 연날리기, 술래잡기, 수건돌리기......"
그렇다면 수백년 전 중세 유럽 사람들은 어떻게 놀았을까 궁금해진다. 지난 해 열린 중세축제에 그 놀이 하나를 엿보게 되었다.
푹 파인 물그릇에 물을 담는다. 원을 그리며 사람들이 선다. 노래가 나오면 물그릇을 옆사람에게 건넨다. 노래가 멈추면 그 순간 물그릇을 들고 있던 사람이 원형에서 나간다. 최후로 남은 사람이 우승한다. 이 놀이를 영상에 담아보았다. 이날 마지막으로 남은 아이와 아줌마가 서로 우승을 양보하는 듯해 인상적이었다.
아래는 사랑을 얻기 위해 기사 두 명이 겨루는 장면이다.
아래는 중세 음악과 춤을 영상에 담아봤다.
|
초유스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