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예년 같으면 빌뉴스 옛시청 광장은 오고가는 시민들과 세계 각지에서 온 관광객들로 북적거리는 곳이다. 올해는 텅빈 광장에서 대여 킥 스쿠터(kick scooter, 킥보드 kickboard)가 언제 나타날지 모르는 손님을 마냥 기다리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북유럽 리투아니아의 여행명소 중 하나가 트라카이 호수에 있는 성(城)이다. 국내외 관광객들로 성수기에는 늘 북적이는 곳이다. 아쉽게도 올해는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유럽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입국이 금지되어 있어서 주로 내국인 여행객들이 찾아온다. 최근 이 트라카이 성에서 5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한 천사언덕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천사언덕은 2009년 리투아니아 국가 1000주년과 트라카이 성당 600주년을 기념하기 조성되어서 2010년 공개되었다. 수십 개의 참나무 천사 조각상이 여기저기 세워져 있다. 개인이나 단체의 기증으로 세워진 것이다. 처음 계획은 각각 100년을 의미하는 10개의 천사 조각상 건립이었으나 사람들의 관심과 후원이 지대하여 이 예상 숫자를 헐씬 넘어섰다. 지금은 40여 개의 조각상이 다양한 천사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래 사진은 5월에 찍은 사진이다. 이때는 노란 민들레꽃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천사언덕 주변에는 라이밀이 자라고 있다, 라이밀은 라이보리(호밀)와 밀을 교배해 잡종 곡식이다. 라이밀은 춥고 메마른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곡류다.
점점 곡식알이 익어가는 연노란색 라이밀밭에 붉은색이 시선을 끈다. 저 붉은색의 정체는 무엇일까? 라이밀을 헤치고 들어가 확인하거나 배경을 삼아 사진을 찍고 싶은 마음이 일어난다.
바로 아래 꽃이다. 양귀비꽃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유럽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해살이풀 개양귀비 또는 꽃양귀비다. 붉은색, 주황색 또는 흰색 꽃을 피운다. 개양귀비는 줄기와 잎 전체에 털이 촘촘히 있다. 라이밀밭에 피고 있는 이 개양귀비는 재배가 아니라 자생이다.
유럽 사람들에게 개양귀비는 풍년을 상징하는 꽃이다. 씨는 빵에 넣어서 먹거나 기름을 짜는 데 쓴다. 줄기는 채소로, 빨깐 꽃잎은 시럽이나 술을 담는 데 쓴다. 풀밭이나 곡식밭 속 개양귀비의 붉은색은 단연 압권이다.
그런데 출입금지를 알리는 푯말이 눈에 들어온다. "사유지 - 돌아다니는 것은 엄격히 금지." 왜 푯말이 세워졌는지는 곡식밭에 난 길이 말해 준다.
붉은색 개양귀비꽃이 유혹하자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사유지 밭에 들어가서 곡식을 망쳐 놓기 때문이다. 밭주인이 트랙터에 앉아서 하루 종일 지켜보고 있다. 아름다움에 매혹되더라도 라이밀밭이 농부의 생계임을 잊어서는 안 되겠다.
라이밀밭에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줄을 쳐놓았다.
개양귀비꽃이 피는 6월 이를 구경하려는 인파가 천사언덕 주변에 모여든다.
뭐가 주고 뭐가 종인지 분간하기가 힘들 정도로 붉은색 개양귀비꽃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6월 중하순경 트라카이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이곳 천사언덕까지 방문해보길 권한다.
6월 23일 하지에 이곳을 찾아서 개양귀꽃을 4K 동영상에도 담아봤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코로나바러이스는 모든 분야에 큰 충격을 안겨다 주고 있다. 그중 뭐니해도 항공산업과 여행산업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이곳 유럽 발트 3국도 4월 중순이면 벌써 한국 여행객들이 오기 시작하는데 지금은 오고 싶어도 올 수가 없다.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국경봉쇄 등으로 인해 공항과 비행기 이착륙장은 텅 비어 있다.
이맘때 리투아니아에서 열리는 가장 큰 문화행사는 "Kino pavasaris"(영화의 봄)라는 명칭을 가진 빌뉴스 국제 영화제다. 1995년부터 시작된 이 영화제는 올해 3월 19일에서 4월 2일까지 열열릴 예정이었다.
지난해 연말 주최측에서 한국영화 번역을 의뢰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당시 여러 바쁜 일이 있어서 다른 사람을 소개시켜 주어야 했다. 올해 2월까지만 유럽 사람들은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이렇게까지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리투아니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3월 16일부터 5월 11일까지 행해지고 있다. 이에 모든 실내행사가 금지되어 있다. 취소되어야 할 영화제는 번쩍이는 아이디어로 다른 형태로 살아났다. 바로 텅 빈 공항의 이착륙장을 야외영화관으로 활용하게 된 것이다.
* 사진출처 Image source: kinopavasaris.lt
4월 29일 영화관이 개설되어 앞으로 4주간 오스카 수상작품을 비롯해 다양한 영화들이 이곳에서 사용된다. 첫 번째 상영작품은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다.
첫날 축하 물세례 행사가 행해졌다. 이런 물세례 행사는 새로운 비행기 혹은 첫 취항 혹은 조종사의 마지막 비행 등을 위해 축하기 위해서다.
공항청사 앞에 5층 높이의 대형 LED 화면을 설치해서 영화를 상영한다. 음성은 자동차 라디오를 통해 듣는다.
* 사진출처 Image source: kinopavasaris.lt
취소되어야 할 영화제가 이렇게 기발한 아이디어로 새로운 형태로 이어지게 되었다. 코로나19로 외국인 입국도 금지되고 내국인 출국도 금지되자 공항(空港)은 이름 그대로 "빈 공간"이 되어버렸다. 덕분에 이곳에서 색다른 영화관람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야외영화관이 개설된 이착륙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답답한 현실에서 하루속히 벗어나 어디론가 여행을 떠나고 싶은 마음을 다시 충동질하기에 아주 적합한 장소로 여겨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9유로 -> 5.49유로
* 2.06유로 -> 1.09유로
할인 가격으로 파는 데도 불구하고 화장지는 넉넉히 남아 있다.
아래는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에 있는 3월 20일 현재 약국 안내문이다.
* 단체나 쌍이나 가족당 1명
* 약국 내 손님은 두 사람만
* 사람간 1.5미터 거리두기
* 마스크, 장갑, 알콜세정제 품절
- 사진: 김수환
이를 막는 방법 중 하나는 판매자가 얌체 심리를 버리고 양심을 지켜 판매하는 것이다. 덴마크의 한 슈퍼마켓의 판매 아이디어가 많은 찬사를 받고 있다. 소비자의 사재기 심리를 한 방에 잠재운다.
* 손세정제 1병 구입시 1병 가격: 40크로네(7천2백원)
* 손세정제 2병 구입시 1병 가격: 1000크로네(18만원)
즉 1병만 사면 7천2백원인데 2병을 사려면 36만원을 내야 한다. 어느 누가 50배 금액을 주고 2병을 사갈까... 그러니 사람들은 당장 꼭 필요한 한 병만 사니까 판매대에는 물건이 품절되지 않고 다음 손님을 기다릴 수 있다.
있어도 감춰 놓고 값이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판매자도 있을텐데...
특히 국가비상사태에 사재기를 통해 폭리를 취하는 이에게는 다시는 그렇게 할 마음이 생기지 않도록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 국가비상사태시 관련 물품 판매 등록제를 실시해 생산자, 판매자, 구입자를 투명하게 해서 품귀 현상을 빚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물론 판매자와 소비자가 사회적 공동의 선을 위해 자발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코로나 사태가 하루속히 끝나길 바란다.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