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리투아니아 마늘주 (오른쪽)
* 리투아니아인 아내는 인삼의 생김 자체가 예술적이라 거실 장식용으로 제격이라고 한다.
이제 우리 집을 찾는 현지인들은 누구나 한번쯤 기묘하게 생긴 이것이 무엇인지 물어볼 것이다.
"뿌리는 한국산 고려인삼이요, 술은 리투아니아산 보드카."
|
|
|
|
|
|
|
|
|
|
|
|
|
|
|
|
이들 나무로부터 떨어진 낙엽이 환절기 갑작스러운 추위로부터 묘나 꽃을 보호하듯 덮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분홍색 아스터(Aster)꽃 사이에 꽂혀 있는 누런 낙엽을 걷어내고 싶지가 않다.
대부분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묘 위에 꽃밭을 가꾸고 있지만 더러는 이렇게 돌로 덮기도 한다. 돌 위에 내려 앉은 낙엽을 걷어 내고 촛불을 켜놓는다.
여름철 싱싱하게 장식한 화초는 벌써 시들고 그 사이에 피어 있는 페튜니아(petunia)꽃이 군계일학처럼 돋보인다.
노란 팬지꽃도 리투아니아 묘지에서 흔지 만날 수 있는 꽃이다.
선명하게 노란 국화꽃은 점점 말라가는 노란 단풍 색을 땅 위에서 계속 이어가는 듯하다.
노란 다알리아꽃이다.
베고니아꽃이다.
근래 묘지에서 점점 늘어나는 꽃 중 하나가 바로 히스(heather)꽃이다. 노란색, 하얀색, 분홍색, 연두색 등 여러 색이 있다.
|
|
* 차세대 전자여권 시안(왼쪽)과 북하 여권
아래 지도는 세계 각국의 여권 표지 색을 나타내고 있다.
|
|
이곳 사람들은 땅에 떨어진 사과를 먼저 주워서 먹는다.
익은 사과가 땅에 떨어지고, 떨어진 사과가 좀 더 부드럽고 달다.
* 사진출처: facebook.com
아래는 폴란드 인도와 울타리 사이에
"공짜 사과" 손글씨를 써서
주인이 챔피온 사과를 상자 가득 담아놓았다.
* 사진출처: wiocha.pl
아래는 영국 스코트랜드 에딘버러 주택의 현관문 계단이다.
황금색 사과를 바구니에 가득 담아
"마음껏 드세요"라는 안내문을 남겨놓았다.
* 사진출처: https://deskgram.net/p/1885805784560663612_6446898085
풍성한 사과...
허리를 굽혀서 주워 담느라 힘들겠지만
이웃이나 행인들과 이 가을 수확을 함께 나누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니
곱게 물들어가는 저 단풍처럼 아름다운 정취가 절로 느껴진다.
|
|
|
|
|
|
좁은 화분이라서 위로만 자라는 듯하다.
과연 화분 속에 감자가 열릴 지 궁금하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가져온 들깨씨앗도
도깨비 보호 아래 무럭무럭 잘 자라고 있다.
비록 삼겹살 구워먹을 때 한 잎 한 잎 그 생명을 마치겠지만...
상추도 잘 자라고 있다.
또 다른 종류의 상추다.
지난해 파슬리가 여전히 잘 자라고 있다.
이렇게 아내는 매일 아침 채소 한움큼을 수확한다.
두 식구 아침 식사용으로 충분하다.
|
|
|
|
|
|
양지 바른 운하 변에는 벌써부터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
42미터의 자유의 상은 라트비아의 자유 독립 주권을 상징하는 중요한 기념비다.
라트비아 조작가 카를리스 잘레가 조각을 맡았고 자발적 성금으로 세워졌다.
1935년 11월 18일 제막되었다. 11월 18일은 1918년 라트비아가 독립을 선언한 날이다.
"자유" 청동상이 위로 쭉 들고 있는 별 세 개는
라트비아의 세 지방(중부 - 비제메, 서부 - 쿠를란트, 동부 - 라트갈레)을 뜻한다.
이 기념비는 1918-1920년 소련에 대항한 라트비아 독립 전쟁 당시 사망한 용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소련에 의해 해체될 위기에 처했으나 소련의 유명 조작가인 베라 무키나 덕분에 살아남게 되었다. 그는 이 기념비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소련은 이 기념비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별 세 개를 두고 어머니인 러시아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지배하는데 이는 발트 3국이 소련에 의해 해방된 것임을 의미한다. 하지만 소련 시대 이 기념비 주변에 꽃을 바치거나 집회를 여는 것이 금지되었다.
1987년 6월 14일 이곳에 약 5000여명의 시민들이 집회를 열어 소련에 의한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이 집회가 독립 운동 물결의 시발점이 되었다.
5월 4일 이 기념비를 지나갔다. 많은 사람들이 꽃을 헌화하고 사진을 찍고 있었다. 이날은 1990년 소련으로부터 라트비아 독립을 다시 한번 더 선언한 날이다. 이날이 주말과 겹치면 월요일이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라트비아 사람들에겐 커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6만 4천 평방킬로미터 영토의 지도 모형틀을 만들어 놓고 누구나 헌화를 할 수 있도록 했다.
|
|
발트 3국내 봄 기운에도 차이가 있을까?
북위 55도에 위치한 리투아니아 빌뉴스의 4월 하순은
그야말로 봄 기운을 완연히 느낄 수 있다.
아래 영상은 4월 25일 빌뉴스에 찍은 벚꽃 영상이다.
벚꽃과 개나리꽃이 서서히 지고 있고
양지바른 곳에는 민들레꽃이 피어나
온 대지를 노란색 물결로 채울 준비를 서서히 하고 있다.
마로니에 나무가 곧 하얀색 꽃망울를 트터릴 차비를 벌써 마무리짓고 있다.
우리 집 앞 공원에 있는 보리수 나무는 밝고 밝은 연두색 새싹을 틔우고 있다.
그렇다면 북위 60도에 위치한 에스토니아 탈린은 어떨까?
4월 30일과 5월 1일 탈린에 잠시 머물렸다.
관광안내를 하느라 많은 사진을 찍지 못했지만
탈린의 봄 기운 모습은 빌뉴스와는 확연히 달랐다.
물론 가까이에서 보면 새싹이 조금씩 움트고 있지만
멀리서 보면 아직도 앙상한 가지를 간직하고 있다.
그 사이로 지어진 지 수백년이 된 건축물 모습이 그대로 보이고 있다.
녹음이 짙은 여름철에는 보기 힘든 풍경이다.
이맘때의 탈린을 모습을 사진을 전한다.
해외여행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날짜 선택이다.
에스토니아 탈린을 비롯해 발트 3국의 완연한 봄 기운을 만끽하려면
4월 하순이나 5월 초순보다는 5월 중순이 좋겠다.
|
|
하늘에서 내려본 리투아니아 빌뉴스 교외 모습이다. 초원, 숲, 호수, 구불구불한 강...
이 프로펠러 비행기 안에서
3유로 주고 커피 한 잔을 마시면서
유치환의 "깃발"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해보았다.
600여킬로미터를 50분에 걸려 도착한 탈린 공항이다. 탈린공항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로: 광고 속으로 빨려 들어갈 듯한 탈린 공항 탑승구
|
|
|
|
|
|
|
|
*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 구시가지
* 라트비아 수도 리가 구시가지
*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 구시가지
|
|
이 일대는 아담한 높이에 거의 수직으로 깎인 절벽따라 하얀 모래 해변이 펼쳐져 있다. 밀물이 오면 잠겨버리는 모래 해변을 따라 우리 가족이 산책하고 있다.
숙소 안내 간판에 하얀 모래라는 글자가 큼직하게 들어갈 정도로 저비스 만의 하이암스 해변(Hyams beach)은 아주 고운 모래로 유명하다. 이 모래는 세계 기록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바로 세계에서 가장 하얀색을 띠고 있는 모래로 기네스북에 올라와 있다.
이날 아쉽게도 날씨가 흐리고 싸늘해서 그런지 해변 풍경은 관광 안내 책자의 설명에는 크게 미치지 못 했고 또한 첫눈에 마주친 모래 색깔도 감탄을 자아내지 못 했다.
하지만 인적이 드문 곳으로 가 보니 모래가 드디어 자기 본색을 드러냈다. 하얗고 하얀 모래 색을 사진에 담아보았다. 쨍쨍한 햇볕이 없어 아쉬웠지만 기네스 기록에 이끌려서 온 보람은 어느 정도 느낄 수 있었다.
갈매기 한 마리가 날아와 바로 내 앞에서 멈췄다.
자기 몸통과 모래 중 과연 어느 것이 더 하얀 지를 나에게 물어보는 듯했다.
답은 물을 필요가 없는 듯하다.
유유상종하니 근주자적하고 근묵자흑이로다!!!
아, 날씨가 쾌청했더라면 참 좋았을 법한 장면인데... 내내 아쉬웠다.
북반구 북유럽에서 남반구 호주에 언제 다시 올 기회가 있을까 하면서
한 컷을 부탁하는 딸아이 요가일래...
모래 해변 바로 옆인데도 무인도 원시림에 들어온 듯한 분위기다.
|
|
|
|
얼마 전에
. 오늘은 부엉이다. 헝가리 페치(Pecs)에 살고 있는 친구(Mária Tallászné)가 정말 보기 드문 장면을 목격했다.
낙엽 떨어진 나뭇가지에 빽빽히 제법 큰 타원형의 물체가 앉아 있다.사진을 보기만 해도 다소 소름이 돋는다.
좀 더 가까이 보니 귀깃이 올라와 있다.부엉이다.
부엉이와 올빼미는 대개 유럽 언어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
보통 귀깃이 있으면 부엉이라 하고 없으면 올빼미라 한다.
하지만 솔부엉이와 쇠부엉이는 귀깃이 없다.
에 의하면 이렇게 귀깃이 선명하니 딱 부엉이다.사진은 헝가리 남부지방 모하츠 (Mohacs) 도심에서 찍었다.
친구가 세어보니 약 50여 마리나 되었다. 어떻게 부엉이가 까마귀처럼 이렇게 대규모로 도심 나뭇가지에 앉아있을까... 이 동네 쥐들은 그야말로 공포에 떨고 있겠다.
|
|
그루터기 위에 두상 눈조각이 시선을 끌었다.
마치 망토를 두르고 있는 눈사람 같다.
해안경을 끼고 있는 귀여운 눈사람도 있다.
이날 본 눈사람 중 압권은 바로 거대한 눈사람이다.
멀리서 보면 보통 눈사람 키지만
가까이 가면 깜짝 놀랄만한 키다.
3미터는 족히 될 법한 눈사람 앞에 서니 난장이가 된 기분이다.
리투아니아 사람들 평균키는 남자가 거의 180cm이다.
그래서 그런지 눈사람도 참 거대하구나!!!
|
|
|
|
이번 호주 시드니 가족여행에서 현지의 초대를 받아 잠깐 그의 집을 방문했다.
현관문 신발장 앞 하늘소가 시선을 끌었다.
멀리서 얼핏보면 바닥에 잠시 멈추고 있는 거대한 곤충처럼 보였다.
가까이에 가면 바로 철로 된 조형물임을 쉽게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 하늘소의 용도는 무엇일까?
현지인에게 물으니 직접 그 용도를 보여주었다.
바로 키가 큰 그가 쉽게 신발을 벗기 위해서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아파트에 살고 있으니 바닥에 설치하기가 어렵겠다. 만약 주택에 산다면 현관 입구에 하늘소 한 마리를 설치해놓으면 신발을 벗는데 참으로 편리하겠다. ㅎㅎㅎ
* 초유스 가족여행기: 호주 본다이 비치 구경에 취해 범칙금이 22만원 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