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페란토'에 해당되는 글 285건

  1. 2013.11.21 러시아에서 빈 술병은 탁자 위에 놓으면 안 돼 1
  2. 2013.10.16 한국인들 스마트폰으로 국제 대회 생중계
  3. 2013.10.11 70세 곧 은퇴할 브라질 외교관이 준 강한 인상
  4. 2013.09.03 거꾸로 된 멋진 나무, 발상 전환 돋보이네
  5. 2013.08.16 우크라이나 마약은 바로 돼지비계다 6
  6. 2013.07.14 한국시: 한용운 - 알 수 없어요 - 에스페란토 번역
  7. 2013.07.13 태극기 국기 채택일을 알려준 폴란드 친구
  8. 2013.07.03 한국시: 한용운- 나룻배와 행인 - 에스페란토 번역
  9. 2013.06.14 한국차에 아주 만족하지만, 별다른 의미는 없다 2
  10. 2013.05.10 한국시: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 에스페란토 번역
  11. 2013.03.29 페이스북 친구 신청했다가 퇴자 맞아보니
  12. 2013.03.01 에스페란토를 유럽연합의 공용어로, 지금! 3
  13. 2013.02.18 감자 없는 감자탕 국물에 홀딱 반한 유럽인 6
  14. 2013.02.06 Unua ĝemeliĝo de ĉina kaj korea lernejoj
  15. 2013.02.06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16. 2012.12.19 원불교 종법사 신년법문 2013 - 에스페란토 번역본
  17. 2012.10.17 동남아 크루즈에서도 강남스타일 가르친다
  18. 2012.05.15 유럽인들과 보낸 1박2일 모임에 대한 단상 1
  19. 2012.05.02 외국 여행하려면 먼저 현지인 친구를 사궈라
  20. 2012.04.27 유럽인이 한국을 사랑하게 된 것은 사극 때문
  21. 2012.01.14 초딩딸 문자 본 아내 '마치 우리 부모님 같아' 5
  22. 2011.12.14 8살 초딩은 뭐 때문에 세월타령할까
  23. 2011.10.08 천진한 아이에 신부의 밉쌀스러운 답례
  24. 2011.09.28 유럽인이 동양인을 경멸할 때 쓰는 표현들 2
  25. 2011.09.27 교실마다 세면대로 위생관념 돋보이네 2
  26. 2011.09.15 구름 속 '예수'에 생각나는 길바닥 돌 '악마'
  27. 2011.09.14 황금빛 계절에 황금빛 사마귀라... 3
  28. 2011.09.10 어느 독일인이 한중일 사람 구별하는 법 17
  29. 2011.09.09 지금 부다페스트는 포도주축제 열기 후끈 1
  30. 2011.09.07 나라마다 제각각 달걀 한 판의 알 수 2
생활얘기2013. 11. 21. 05:46

지난 주말 러시아에서 손님이 왔다. 에스페란토 친구이다. 페테르부르그에서 동쪽으로 200여 킬로미터 떨어진 티흐빈에 살고 있다. 전기 기술자로 정년 퇴임했지만, 목재소에서 고용 사장으로 일을 하고 있다. 한편 그는 시인, 작곡가, 작가, 번역가, 가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기타 하나 들고 세계 각국을 두루 돌아다니는 사람인지라 음식을 가리지 않는다. 생일은 아니지만, 우리 집의 대표적인 한국 국인 미역국을 첫날 끓여서 대접했다. 다음날에는 닭볶음탕을 준비했다. 난생 처음 먹어본 이 요리가 맵지만 맥주와 함께 먹으니 정말 맛있다고 칭찬했다.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그는 며칠 동안 한국 음식을 즐겼다. 이렇게 외국인을 만나면 새로운 문화나 경험 등을 서로 주고 받게 된다. 내가 배운 새로운 것이 하나 있어 소개한다.

이 러시아 친구와 함께 리투아니아인 친구 집을 방문했다. 같이 사우나를 하면서 맥주를 마셨다. 리투아니아인 친구는 다 마신 맥주병을 식탁 위 벽 쪽에 가지런히 놓았다. 이것을 본 러시아인 친구가 한마디 했다.


"우리 러시아에서는 절대로 빈 술병을 탁자 위에 놓지 않는다."
"뭐 특별한 이유는 있나?"
"이는 술을 무시하는 것이라 여긴다. 빈 술병은 탁자 위에 놓지 않고, 반드시 바닥에 놓는다."


이 말을 들으니 순간적으로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절대로 가방을 바닥에 놓지 않는다라는 아내의 말이 떠올랐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가방을 바닥에 놓으면 돈을 잃는다고 믿는다.

또한, 몇 병을 마시고 있나를 확인하기 위해 소주나 맥주 빈병을 마치 전리품처럼 탁자에 하나하나 올려놓던 대학 시절이 떠올랐다. 이런 습관대로 다혈질 러시아 사람 앞에 했다가는 욕 먹을 수 있겠다.  

한편 리투아니아 사람들이 술을 마시는 경우이다. 만약 마지막 술병일 때이다. 따르다가 마지막 잔을 받은 사람이 술을 사러가야 한다.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13. 10. 16. 07:26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국제 대회가 열렸다. 일본 에스페란토인들이 해마다 개최하는 에스페란토 대회가 올해 100주년을 맞이했다. 대회 참가자 규모는 약 1000명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이 여전히 심각한데도 외국에서 40명이 참가했다. 이 중 한국 참가자는 9명이다. 

*에스페란토란
1887년 폴란드의 안과의사 자멘호프가 창안한 국제공용어. 변음 묵음 등이 없어 적힌 대로 소리 내고, 품사어미 강조음 등이 규칙적이어서 배우기가 매우 쉽다.
에스페란토 사용자('에스페란티스토', '에스페란토인'라고 부른다)들은 ‘1민족 2언어 주의’에 입각해 같은 민족끼리는 모국어를, 다른 민족과는 에스페란토를 사용할 것을 추구하고 있다. 현재 120여개 국가에서 수백만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에는 1900년대 초기에 처음 소개되어 현재 한국외국어대, 단국대, 원광대, 경희대 등에 강좌가 개설돼 있다. 한국에스페란토협회에스페란토문화원 등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유럽에 살고 있지만, 일본에 에스페란토인 친구나 지인들이 적지 않다. 가까운 한국에 살고 있다면 꼭 참가하고 싶은 대회이다. 보통 대회가 끝나면 에스페란토 잡지를 통해서 글이나 사진으로 일본 에스페란토 대회 소식을 접한다. 이젠 그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되었다.  


눈부신 발전을 이룬 정보기술 덕분이다. 한국 참가자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대회를 생중계하기로 했다. 카카오톡에 대회 그룹을 만들어 실시간으로 소식을 알려주었다. 때론 문자로, 때론 영상으로, 때론 음성으로 말이다. 일본 도쿄 국제 대회장에 몸만 없을 뿐이지 마치 내가 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듯한 기분이었다. 

* 사진출처: 카카오톡 [토쿄-100a JK] Katoka grupo

6시간 시차로 인해 아침에 일어나면 수십 개의 새로운 소식이 내 기상을 기다리고 있었다. 참가자 개인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개회식, 일본 헌법 9조 분과모임, 베트남 참가자 음식 소개, 일본 다도 시연, 아시아 에스페란토 활동 분과모임, 에스페란토 웅변 경연 등 대회 내용을 생생히 알게 되었다.

컴퓨터로 문서작성이 편해졌고, 
인터넷으로 수많은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스마트폰으로 어디서든지 이렇게 생중계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인들의 극성스러운(?) 스마트폰 활용을 통해 일본에서 열린 국제 대회를 유럽에서 현장감있게 즐길 수 있었다. 스마트폰 덕분에 참으로 상상하기 힘든 세상의 발전을 새삼스럽게 다시 한번 느껴보았다. 이번 한국인들의 국제 대회 스마트폰 생중계를 옆에서 지켜보던 아내는 "역시 한국이야!"라고 감탄했다.

다음 주에는 한국 에스페란토 대회가 인천에서 열린다. 스마트폰으로 지켜볼 이 대회가 벌써 기대된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10. 11. 05:46

최근 YTN TV 뉴스를 통해 알게 된 내용이다: 
한국은 오는 2026년에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여기에다 저출산 문제까지 겹쳐 앞으로 급속한 노동력 감소가 우려된다. 그래서 '이제는 70세까지 일하는 사회를 만들자'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 소식을 접하면서 얼마 전에 만난 브라질 외교관이 떠올랐다. 자신을 슬로바키아에서 근무하고 있는 브라질 외교관이라는 소개와 함께 빌뉴스를 방문하는 동안 에스페란토인을 만나고 싶다고 했다. 이름을 보니 2008년 아내가 브라질 비자를 받을 때 도움을 준 바로 그 사람이었다[관련글: 브라질 비자 받기와 에스페란토].

그때를 생각하면서 공항으로 마중가겠다고 하니 극구 사양을 했다. 공항에 내려 택시나 버스로 미리 잡아놓은 호텔까지 혼자 충분히 갈 수 있다고 했다. 아내와 상의했다.

"외국에 갈 때 우리가 극구 반대하더라도 현지인이 나와서 우리를 환영한다면 좋지 않을까?"
"당연하지."
"그렇다면 우리가 차로 공항으로 환영하러 나가자. 외국인이 가장 궁금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현지인들은 어떻게 살까이다. 현지인 친구 집이 관광지 트라카이 근처에 있으니까 가는 길에 들러서 차를 마시면서 담소도 나누자."

이렇게 아내와 의기투합해서 공항으로 갔다. 반갑게 브라질 외교관을 만난 우리는 구상한 일정에 동의를 얻어서 친구 집으로 향했다. 가는 동안 차 안에서 우리는 많은 대화를 나눴다. 

그는 브라질 상파울로에서 포르투갈어와 영어 교사로 25년간 일을 한 후, 법원에서 3년을 더 일하고 은퇴했다. 은퇴 후 연방정부 외교부의 행정직 채용 광고를 접했다. 자녀들도 다 장성했고, 연금도 나와 생활에는 지장이 없었다. 색다른 분야에서 경험하는 것도 인생에 가치가 있을 것 같아 응시했다. 합격되었다. 행정직의 최고 자리는 부영사이다. 

3년을 브라질리아(브라질 수도)에 있는 외교부에서 수습 일을 마치고 외국 근무로 하게 되었다. 한번 외국으로 발령되면 근무기간 10년을 다 채워야 브라질 외교부로 돌아올 수 있다. 그는 콜롬비아, 일본, 독일, 슬로바키아 브라질 영사관에서 이어서 근무했다. 

2년 전에 이미 10년 기간을 채워 브라질로 돌아가 은퇴를 맞을 수 있었다. 문제는 정년 70세까지 2년이나 남았다. 돌아가면 브라질리아에서 근무하게 되는 데 주거지를 구하는 일 등이 복잡해서 외국에서 정년까지 근무하다가 퇴직하기로 결정했다.

12년 동안 홀로 외국 생활하는 데 가족이 그립지 않나?
- 그립다. 하지만 1남 3녀 자녀들이 다 자라서 각자의 삶을 살고 있다.

아내는 종종 찾아오나?
- 가까운 라틴 아메리카에 근무할 때는 아내가 1년에 여러 달을 함께 지내곤 했다. 그런데 4계절이 두렷한 나라에 근무할 때 특히 가을만 되도 추워서 브라질이 좋다고 떠났다.

혼자 살면 식사 해결이 제일 어렵지 않나?
- 아니다. 요리하기를 좋아한다. 1개월치를 미리 요리해서 냉동실에 넣어놓는다. 

뭐, 1개월치를 요리한다고? 고기 요리를? 
- 난 채식주의자다. 부모와 같이 살 때는 어쩔 수 없이 육식도 했다. 하지만 내가 내 가정을 가지고부터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꿈꾸었던 채식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지금까지 채식만 한다. 아침을 든든히 먹는다. 주로 과일과 내가 직접 구은 빵과자로 식사한다. 점심은 생선, 쌀밥, 콩 그리고 과일로 한다. 저녁은 먹지 않는다. 

빨래나 집안 청소는 파출부가 하나?
-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으려고 한다. 주말에 이런 일을 하는 것이 아주 즐겁다.

진짜 나이를 알고 깜짝 놀랐다. 지금까지 나와 비슷한 연령으로 알고 있었는데 내년 1월에 70세 정년을 맞는다고 하니 참으로 믿기지가 않는다. 특별한 건강관리가 있나?
- 없다. 하지만 아침에 일어나 15분간 체조하고 샤워를 평생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이면 자녀들은 어느 쪽에 가깝나?  
- 외할머니는 원주민과 흑인 사이에 태어나고, 외할아버지는 흑인이었다. 아버지는 백인이다. 내 아내는 이탈리아인이고, 같이 1남 3녀를 두고 있다. 딸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탈리아인의 모습을 띠고 있다.아내가 첫아이를 놓고나서 엉덩이를 보더니 엉엉 울었다.

왜 울었나?
- 갓 태어난 딸아이의 엉덩이에 푸른 반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내는 이것이 피부병 증세로 알았기 때문이다. 이에 내 어머니가 '당신 남편이 인디언 피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긴 몽고 반점'이라고 말했다. 그때서야 아내가 안심했다.

외교관 생활에 국제어 에스페란토가 도움 되나?
-  참으로 많이 도움이 된다. 현지인들과 교류하는 데 영어보다 에스페란토가 훨씬 더 편하다는 것을 느낀다. 영어는 의사소통의 도구이지만, 에스페란토는 여기에 하나가 더 첨가된다. 바로 만나기 전에도 서로가 친구였다라는 감정을 들게 한다. 특히 일본에서 근무할 때 일본인들과 교류하는 데 에스페란토가 아주 유용했다.

어떻게 에스페란토를 배웠나?   
- 대학생일 때 교수가 에스페란토인이라서 배웠다. 그런데 졸업하고 가정을 꾸리고 직장에 다니느라 한 동안 잊고 살았다.

어떤 계기가 되어 다시 시작했나?
- 38살에 크게 교통사고를 당했다. 오토바이를 타고 가는데 차가 와서 들이받았다. 나는 공중으로 붕 떴고 전방 15미터로 날아가 떨어졌다. 그런데 기적이 일어났다. 나를 들이받은 차 운전수가 급브레이크를 잡지 못하고 앞으로 더 나아갔다. 이것이 나를 살렸다. 내가 도로에 떨어지지 않고 그 차 지붕에 떨어졌기 때문이다. 자동차 지붕이 완충역할을 하면서 내 생명을 구했다. 몇 해 후 똑 같은 자리에서 나와 똑 같은 사고를 당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도로에 떨어져서 즉사했다.
재활하는 동안 서재에 에스페란토 교과서가 눈에 확 띄었다. 다시 살게 된 것에 감사하면서 이 책으로 다시 공부했고,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참가하고, 지금까지 활용하고 있다. 

* 오후 한 나절이었지만, 브라질 외교관과의 에스페란토로 통한 만남은 우리 부부에게 아름다웠다.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면서 우리는 오후 내내 함께 했다.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통해 새로운 사람을 좀 더 알게 되는 재미가 참 솔찬했다. 

이날 만남을 통해 가장 강한 인상은 어느 조직보다도 더 폐쇄적일 것은 외교부에 은퇴한 사람이 다시 들어가서 70세까지 일하다 퇴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는 사회든 재취업 기회를 나이제한을 통해 원천적으로 막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편 속으로 나도 저 나이에 저렇게 건강하면서 일을 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해보았다. 늦었지만 매일 15분 체조라도 해야되지 않을까......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9. 3. 05:17

일전에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에서 현지인 에스페란토 친구를 만났다. 아무런 댓가 없이 2박 3일 동안 재워주고 구경시져 주었다. 감사할 뿐이다. 

친구는 집 인근에 특이한 식당이 있다고 했다. 이곳은 바이킹 시대를 소재로 한 식당이다. 연못에서 직접 낚은 물고기로 생선요리를 먹을 수도 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식당도 아니고 음식도 아니였다. 바로 야외 전등 지지대였다. 뿌리가 있는 통나무 전체를 가지고 지지대를 만들었다. 아주 간단했다. 바로 뿌리를 위로 하고 통나무를 세워놓았다. 위에 있는 뿌리에는 야생화나 나무가 자연스럽게 자라고 있었다. 


이 거꾸로 된 통나무 전등 지지대를 보고 있으니, 발상 전환이 왜 때론 필요한 지를 새삼스럽게 느낄 수 있었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8. 16. 06:28

일전에 여러 민족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러시아인, 한국인, 리투아니아인, 우크라이나인 등이었다. 국제어 에스페란토 행사였다. 한 참석자가 생일을 맞았기 때문이다.

모두들 갑자기 들은 생일 소식인지라 즉석에서 선물을 찾아야 했다. 나는 마침 소주가 있어서 "여기 한국에서 온 만병통치약 소주!"라고 우스개 소리를 하면서 그에게 선물했다.


한 우크라이나인의 선물이 폭소를 자아냈다. 그는 "우크라이나 민족음식"이라고 소개하면서 서랍에서 하얀 물건을 꺼냈다. 여기에 외국 세관원과 우크라이나 여행객의 대화를 덧붙였다.


세관원: "마약이 있나?"
우크라이나인: "당연히 있지."
세관원: "꺼내봐."
우크라이나인: "여기!"
세관원: "이건 돼지비계잖아!"
우크라이나인: "우리에겐 이것이 마약이다."

이처럼 우크라이나인에게는 돼지비계가 마약으로 통한다. 그만큼 좋아하고 많이 먹는다는 뜻이다. 외국에 여행갈 때 한국인이 김치나 깻잎 등을 가져가듯이 우크라이나인은 돼지비계를 가져간다, 


우크라이나인들은 이 돼지비계를 살로로 부른다. 살로는 돼지비계를 소금에 절이거나 훈제한 것으로 얇게 썰어 먹는다. 이날 아래와 같이 빵조각에 우크라이나 돼지비계를 얹어서 먹어보았다. 평소 비계를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날 우크라이나 돼지비계는 입안에 살살 녹는 듯 정말 부드럽고 맛이 있었다.  


'아~~~ 그래서 우크라이나인들은 이를 마약이라고 부르는구나!'라고 속으로 생각해보았다. 아래는 이날 우크라이나 돼지비계를 선물하는 장면을 영상에 담아보았다. 언젠가 우크라이나에 가서 이 살로로 불리는 돼지비계 요리를 직접 먹어볼 기회가 있길 바란다.

Posted by 초유스

아래는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번역된 한용운의 시 <알 수 없어요>이다. 

알 수 없어요

바람도 없는 공중에 垂直의 波紋을 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은 누구의 발자취입니까.

지리한 장마끝에 서풍에 몰려가는 무서운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꽃도 없는 깊은 나무에 푸른 이끼를 거처서 옛 塔 위의 고요한 하늘을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는 누구의 입김입니까.

근원은 알지도 못할 곳에서 나서 돌부리를 울리고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는 구비구비 누구의 노래입니까.

연꽃같은 발꿈치로 가이 없는 바다를 밟고 옥 같은 손으로 끝없는 하늘을 만지면서 떨어지는 해를 곱게 단장하는 저녁놀은 누구의 詩입니까.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그칠 줄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Nescieble

Verkis HAN Yongwoon kaj tradukis CHOE Taesok.

Kies piedspuro estas sterkulifolio defalanta en silento, 
estigante vertikalan ondon en aero eĉ sen vento?

Kies vizaĝo estas ĉielo blua pretervidiĝanta tra la fendo de timiga nigra nubo 
forpelata de la okcidenta vento post la teda longa pluvo?   

Kies spiraĵo estas nekonata aromo, el verda musko sur arbo profunda sen floro, 
tanĝanta kvietan ĉielon super antikva pagodo?

Kies kanto estas meandra rivereto fluanta delikate el nekonata fonto, 
sonigante noĉitan randon de ŝtono?

Kies poemo estas vespera ruĝo bele ornamanta la subiran sunon, 
surtretante la senliman maron per kiellotusfloraj kalkanoj 
kaj tuŝante senfinan ĉielon per kieljadaj manoj?

Post la brulo resta cindro reiĝas oleo. 
Kies nokton gardanta febla lampofajro ja estas mia brula koro nescianta pri ĉeso?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7. 13. 05:29

지금 에스페란토 국제회의에 참가하고 있다. 7월 12일 점심 식사를 하려는 데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온 에스페란티스토(에스페란토 사용자)가 다가와 나에게 물었다.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가 언제 채택이 되었는지 알아?"

아무리 내가 한국인이라고 하지만 태극기 채택일을 물어보다니...... 한국인이면 한국에 관련된 모든 것을 다 알고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로 물어온 듯하다. 하지만 대답 대신 물음으로 답할 수밖에 없었다.  


"웬 갑자기 태극기에 대한 질문을 하나?"
"모르고 있네. 내가 알려주지. 바로 7월 12일 오늘이 태극기가 대한민국의 국기로 채택된 날이야."
"한국인 나보다 어떻게 태극기에 대해 더 잘 아나? 오늘이 채택일이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나?"
"내가 위키백과에 글을 자주 올리는데 위키백과에서 알았어."
"너 덕분에 나도 알게 되었네."


그는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 있는 아시아박물관에서 일하고 있다. 이번 일주일 행사에서 동양의 다양한 상징이나 기호들을 참가자들에게 소개하는 전시회를 열고 있다. 특히 이날 태극기 채택일을 맞아 태극기까지 전시하는 세밀함을 보여주어 감동적이었다. 


이 친구 덕분에 1948년 제헌국회에서 태극기를 국기로 채택한 날인 7월 12일은 앞으로는 꼭 기억할 것 같다. 시험 공부을 위해 외운 날짜는 시험이 끝나면 금방 잊어버리지만, 이렇게 전혀 생각지도 않은 외국인으로부터 태극기에 대한 모르는 정보를 얻었으니 그 기억이 분명히 오래갈 것이다.

Posted by 초유스

요즘 국제어 에스페란토 사용자들에게 한국 현대시를 알리기 위해 시번역을 하고 있다. 이번에는 한용운의 시 <나룻배와 행인>이다. 이 시를 번역하는 데 yousim.co.kr의 <만해 시에 대한 단상>을 참고했다. 특히 <나는 나룻배(2,3), 당신은 행인(3.2)>의 율격적 구조에 대한 지적은 번역에 큰 도움이 되었다. 

과연 에스페란토에서는 이러한 율격적 특징을 표현할 수 있을까? 힘들어 보였지만, 한번 도전해보기로 했다. 아래는 짧은 이 시를 놓고 하루 종일 고치고 또 고친 결과물이다. 영어와 에스페란토를 할 줄 아는 사람이 비교해볼 수 있도록 먼저 영어 번역본(김재현 교수와 Ronald Hatch)을 소개한다.  

The Ferryboat and the Traveller

I am a ferryboat. A traveller, you tread on me
with muddy shoes. I take you aboard to cross the river.
With you held in my arms, I go across the currents,
deep, shallow, or rapid.
If you do not turn up, I wait from dawn to dusk,
despite the wind, rain or snow.
Yet once you're crossed the river, you do not look back to me.
But I believe you will return one day.
I am a ferryboat. You are a traveller.

나룻배와 행인
Boato kaj iranto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Estas mi boat’,
vi estas irant’.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습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옅으나 급한 여울이나 건너갑니다.

Vi forte kun kotaj ŝuoj min piedpremas.
Vin mi en brakoj premas kaj mi iras trans akvon.
Se mi en brakoj premas vin, transiras mi ĉu torenton, ĉu profundon, ĉu malprofundon.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맞으며 밤에서 낮까지 당신을 기다립니다.
당신은 물만 건너면 나를 돌아 보지도 않고 가십니다 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아 갑니다.

Se vi ankoraŭ do ne alvenas, mi jen en venta blovo, jen sub pluv’ aŭ neĝo de nokto ĝis tago sopire atendadas vin. 
Se vi nur akvon transiras, vi foriras eĉ sen returne rigardeti al mi. 
Sed tamen mi scias ja nur tion, ke vi alvenos iam ajn.
Mi, vin sopire ĝisatendante, fariĝas kaduka tagon post tago.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Estas mi boat’,
vi estas irant’

20년 전에 이 시를 처음 번역했을 때에는 이런 율격적 구조를 알지 못하고 그저 뜻을 어떻게 잘 전달할 것인지만 중요시여겼다. 20년 전 번역본을 보니 웃음이 절로 나왔다.

1994년 번역본 2013년 번역본
Mi estas boato.
Vi estas pasanto.

Vi min per la kotaj piedoj surtretas.
Vin ĉirkaŭprenante trans akvon mi iras.
Se mi jam vin prenas ĉirkaŭe,
mi iras trans akvon profundan, rapidan
aŭ malprofundetan.

Se vi ne alvenas,
de nokto ĝis tago mi vin do atendas
eĉ en la ventblovo, neĝado kaj pluvo.
Post kiam trans akvon vi iras,
sen al mi rigardi vi tuje foriras.
Sed scias mi nur, ke vi venos en ia ajn tempo.
Vin mi atendante fariĝas kaduka en ĉiu momento.

Mi estas boato.
Vi estas pasanto.

Estas mi boat’,
vi estas irant’.

Vi forte kun kotaj ŝuoj min piedpremas.
Vin mi en brakoj premas kaj mi iras trans akvon.
Se mi en brakoj premas vin, transiras mi ĉu torenton, ĉu profundon, ĉu malprofundon.

Se vi ankoraŭ do ne alvenas, mi jen en venta blovo, jen sub pluv’ aŭ neĝo de nokto ĝis tago sopire atendadas vin.
Se vi nur akvon transiras, vi foriras eĉ sen returne rigardeti al mi.
Sed tamen mi scias ja nur tion, ke vi alvenos iam ajn.
Mi, vin sopire ĝisatendante, fariĝas kaduka tagon post tago.

Estas mi boat’,
vi estas irant’.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6. 14. 05:49

낯선 지방이나 나라에 벗이 있어 만나면 참으로 기쁘다. 일전에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리투아니아 빌뉴스로 내려오는 국제선 버스를 기다리면서 약 5시간 정도 여유가 있었다.

혼자 사진도 찍으면서 탈린 구시가지에 산책할까하다가 그 동안 몇 차례 에스페란토 행사에서 만나서 이름 정도 알고 지내던 에스토니아인을 한번 만나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먼저 며칠 전 페이스북으로 "모월 모일 모시에 시간이 있으니 괜찮다면 만나고 싶다"는 쪽지를 남겼다. "나도 시간이 되니 꼭 만나고 싶다. 내 전화는 다음과 같다"라고 금방 답이 왔다. 드디어 그날이 왔다. 전화를 하니 곧 내가 있는 곳으로 차로 올 테니 어디 가지 말고 기다려라고 했다.

파란색 현대차가 다가왔다. 안에는 덩치가 큰 바로 그 지인이 타고 있었다. 악수를 하면서 반갑게 인사를 나눴다. 단지 여러 사람들 사이에 조금 알고 지내는 사이인테 우리는 만나자마자 오랜 친구가 만난 듯한 기분이 들었다.

"자, 외국인이 가기 어려운 곳으로 구경시켜주려고 하는 데 어때?"
"나야 좋지."

그는 소련 시대 해군이 주둔해 통행이 금지되었던 곳으로 안내했다. 지금은 탈린 시민들이 해수욕이나 일광욕을 즐겨하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탈린 구시가지의 또 다른 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화강암이 해변 바다 위에 우뚝 솟아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살고 있는 리투아니아 해변에서는 바위를 찾아볼 수가 없다. 사방 천지가 모두 분말가루같은 모래뿐이기 때문이다.


친구의 여러 이야기 중 몇 가지가 관광안내사(가이드) 일을 하고 있는 내 머리 속에 속속 잘 들어왔다. 

- 탈린은 스웨덴의 스톡홀름, 핀란드의 헬싱키, 러시아의 페테르부르크보다 훨씬 더 오래 전에 형성된 도시이다.
- 탈린은 동쪽 내륙에서 나오는 왁스를 수출하고, 발트해를 통해 소금을 수입하던 전초기지였다.
- 독일 기사단이나 스웨덴이 지배하던 시절 지배계층은 에스토니아인들과 결혼하지 않았지만, 제정 러시아 시대 러시아인들은 토착인들과 결혼했다. 그래서 에스토니아인의 DNA는 러시아인에 더 많이 닮았다.
- 에스토니아 북부 지방은 석회암이 대부분이고, 저기 있는 화강암은 빙하가 녹으면서 스칸디나비아에서 흘러내려온 것이다.


그가 타고온 현대차 이야기다.

"현대차에 만족하나?"
"이 차는 관용차이다. 매년 3년마다 우리 부처에서 새로운 차로 교체해준다. 내 개인차도 한국 자동차 회사가 만든 기아차이다."
"정말? 어때?"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다양차를 운전해보았는데 한국차도 이들에 비해 전혀 손색이 없다. 아주 만족한다. 하지만 이제 한국차라는 데에 별다른 큰 의미가 없다."
"왜?"
"알다시피 자동차를 비롯한 전자제품 등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한국차도 사실 100% 한국차라고 할 수가 없다. 그래서 과거의 부정적인 선입견만을 고집해 그 특정 나라의 차를 평가하는 것은 이제 의미가 없다."
"나도 동의한다. 그래도 네가 한국인인 나를 한국차로 구경시켜주니 기분은 좋다. 그런 뜻에서 오늘 저녁식사는 내가 쏘겠다."


그는 내가 손님이라면서 극구 자기가 내겠다고 했지만, 오랜 친구처럼 나를 맞아준 데에 대한 고마움으로 내가 먼저 지갑을 열어 계산했다. 우리 둘이는 서로 모국어가 다른 사람들이지만 이렇게 좋은 만남을 가질 수 있게 해준 국제어 에스페란토의 존재와 위력에 대해 새삼스럽게 감탄하면서 다음 만남을 기약했다. 

Posted by 초유스

모두들 한 번쯤은 읽어보았을 중 하나가 바로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1908년 <소년>지에 발표된 시로 한국 문학사에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전 시간의 정형성에 벗어난 한국 최초의 신체시로 평가 받고 있다. 구시대의 잔재를 부수고 새로운 문물의 시대를 열망하는 작가의 뜻을 담고 있다.

한 마디로 한국어 시 번역은 어렵고 어렵다. <한국 에스페란토 협회 기관지> 관계자의 부탁을 받아서 앞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시들을 에스페란토로 번역하는 일을 틈틈이 하게 되었다. 첫 번째 작품이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뜻 전달에도 충실하고, 또한 한국어 원문이 가지고 있는 율격적 구조(3.3.5조의 3음보; 4.3.4.5조의 4음보, 4.3.4.4.3조나 그 변조의 5음보)를 에스페란토 번역문에서도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보았다(혹시 번역에 관심 있는 분을 위해 에스페란토 번역문의 각연마다 율격적 구조를 괄호로 기재해 놓았다).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De maro al knabo
                                                                                                       Aŭtoro: CHOE Namseon 
                                                                                                        Traduko: CHOE Taesok

1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태산(泰山)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느냐 모르느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Mi batas, disrompas kaj fordetruas. (3,3,5)
Alta monto kiel Taj**, roko kiel la tuta domo, (4,3,4,5)
kio do ĉi tio, kio ĉi tio? (3,3,5)
Demandante tondre, ĉu la fortegon mian scias vi aŭ ne, (4,3,4,4,3) 
mi batas, disrompas kaj fordetruas.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2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무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무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Mi tute ne havas timon pri ajno. (3,3,5)
Kiu havas plej grandajn forton kaj regpotencon sur tero, (4,3,4,5)
ne povas moviĝi eĉ li antaŭ mi. (3,3,5)
Sian forton ne povas al mi uzi eĉ la aĵo plej granda. (4,3,4,4,3)
Ja al mi, ja al mi, ĝuste antaŭ mi.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3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者)가
지금(只今)까지 있거든 통지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秦始皇) 나팔륜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희 역시(亦是) 내게는 굽히도다.
나하고 겨룰 이 있건 오너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Se ulo neriverencinta al mi (3,3,5)
ĝis nun estas ankoraŭ, anonciĝu kaj alrigardu. (4,3,4,5)
Qin Shi Huang***, Napaljun****, ĉu li estas vi? (3,3,5)
Kiu, kiu, kiu do? Submetiĝos certe ankaŭ vi al mi. (4,3,4,4,3)
Se estas konkurul’ kun mi, tuj venu.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4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조고만 산(山)모를 의지(依支)하거나
좁쌀같은 작은 섬 손뼉만한 땅을 가지고
고 속에 있어서 영악한 체를
부르면서 나혼자 거룩하다 하는 자(者),
이리 좀 오나라, 나를 보아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Kiu kun apogo sur montangulet’, (3,3,5)
aŭ kun milegrajno da insulo kaj manplato da ter’ (4,3,4,5)
ene de l’ loko sin ŝajnigas grava (3,3,5)
kaj fiere sin sola konsideras tre sankta, (4,3,4,4,3)
venu li ĉi tien kaj min rigardu.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5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의 짝 될 이는 하나 있도다.
크고 길고 너르게 뒤덮은 바 저 푸른 하늘. 
저것은 우리와 틀림이 없어 
작은 시비(是非), 작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없도다.
저따위 세상(世上)에 저 사람처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Ĉo……lsok ĉo……lsok ĉok ŝŭa……a.
Jen estas unu por mia parulo — (3,3,5)
tiu blua ĉiel’ pro granda, longa kaj vasta kovro. (4,3,4,5)
Ĝi estas sendube sama kiel ni. (3,3,5)
Disputeto, batalo, ĉiuspeca malpuraĵo ne estas (4,3,4,4,3 변조의 5음보)
samkiel tiu hom’ en tiu mondo.(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6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저 세상(世上) 저 사람 모두 미우나
그 중(中)에서 똑 하나 사랑하는 일이 있으니
담(膽) 크고 순진한 소년배(少年輩)들이
재롱(才弄)처럼 귀(貴)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너라 소년배(少年輩) 입맞춰 주마.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소년, 1908. 11>

Ĉo……lsok ĉo……lsok ĉok ŝŭa……a.
Malamas mi tiujn mondon kaj homon, (3,3,5)
tamen estas el ili sola aĵo aminda por mi: (4,3,4,5)
kuraĝa kaj pura knabaro juna (3,3,5)
belkondute tre ĉarme venas kaj sin premas sur mian sinon. (4,3,4,4,3)
Tuj venu, kaj kisos mi vin, knabaron. (3,3,5)
Ĉo….lsok ĉo……lsok ĉok tjurrung kŭak.
<Knabo, 1908.11>

* Korea onomatopeo, imitanta plaŭdon.
** Monto troviĝanta en la ĉina provinco Shandong.
*** Fondinto de la ĉina dinastio Qin. 
**** Napoleono.

인공어로 알려진 에스페란토가 과연 문학어로서 제대로 그 기능을 할 수 있을까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을 종종 만난다. 원문의 뜻도 그대로 살리고, 율격적 구조까지도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면 에스페란토는 문학어로서도 그 빛을 발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된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3. 29. 09:51

현재 리투아니아 페이스북 사용자는 114만 명이다. 이는 총인구의 32%, 온라인 인구의 55%에 해당한다. 한국은 830만 명으로 인구의 17%, 온라인 인구의 20%이다. 비율로 따지면 리투아니아가 사용률에서 한국보다 더 앞선다. 가입 연령이 제한되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생들도 나이를 높여서 흔히 사용한다. 

페이스북 친구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지는 않는다. 대신 친구 수락 신청을 가끔 받게 되는데 그 사람의 신상을 유심히 살피지 않고 쉽게 수락한다. 그런데 최근 어떤 사람을 우연히 알게 되어서 페이스북 친구 신청을 했는데 정중히 거절당했다.

페이스북 에스페란토 동아리가 있다. 이 동아리 운영자가 에스페란토 글자가 써진 수건으로 덮고 있는 딸아이 사진을 찾아 대문에 걸어놓았다. 이 사진이 회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독일인 한 사람이 다문화 가정의 아이인 딸아이의 언어능력에 호의적으로 궁금해했다. 서너 차례 댓글로 의견을 주고 받았다. 이 정도라면 페이스북 친구를 신청해도 무리는 아니라고 생각해 <친구 더하기> 단추를 눌렀다.


얼마 후 답장이 왔다.  뜻밖의 내용에 깜짝 놀랐다. 


"페이스북 친구에 대해: 미안하지만  인터넷이 아니라 현실 세상에 있는 친구나 친척만을 페이스북 친구로 받아들인다. "가상 친구"를 안 받지만, 너의 편지를 받아보고 싶다."

새로운 사람들을 알팍하게 알고 지내는 것보다 기존부터 얼굴을 맞대고 알고지내는 친척이나 친구들과 페이스북을 통해 빠른 소식을 주고받으면서 정의를 더욱 돈독히 하는 것이 더 현명한 일임을 일깨워주는 답장이었다. 

이 사람 덕분에 앞으로는 페이스북 친구 신청이나 수락을 보다 더 신중하게 해야겠다고 다짐해본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3. 3. 1. 07:11

이것이 왜 중요한가 
유럽연합의 기본원칙 가운데 하나는 언어와 문화의 평등입니다. 그런데 유럽연합의 공용어 23개로는 그 원칙을 준수하기가 어렵습니다. 오늘날 영어가 다른 언어들에 비하여 선호되고 있는데, 유럽중앙은행에서 영어만 작업언어로 쓰인다는 사실이 하나의 예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영어를 못하는 다른 유럽인들은 불리합니다. 

유럽 ​​사람들 사이의 평등한 관계를 위하여, 중립적이고 배우기 쉬운 에스페란토를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 채택합시다. 전 유럽에서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면, 모든 민족이 서로 논의하며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로써 민주적으로 더욱 진전된 유럽이 건설될 것입니다. 

그뿐 아니라 그린(Grin)* 보고서에 따르면 영어를 배우는 대신 에스페란토를 배우면, 매년 250억 유로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에스페란토는 민족어에 비해 5~10배 정도 쉽게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eo.wikipedia.org/wiki/Raporto_Grin 

에스페란토를 유럽연합의 공용어로, 지금! 
우리, 유럽 및 세계 시민들은 유럽이 문화와 언어 분야에서 더욱 더 민주적이고 공정한 대륙이 될 수 있도록, 에스페란토를 유럽연합의 24번째 공용어로 채택하길 호소합니다. 에스페란토를 채택하는 것은 유럽 건설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는 것입니다. 하지만 유럽 ​​차원에서의 논의가 아직 부족합니다. 유럽이 단순히 경제적 차원의 연합이 아닌 모든 사람들을 위한 연합이어야 합니다.

쉽게 그리고 무료로 국제어 에스페란토의 정보를 얻고, 배울 수 있는 다국어 사이트: http://ko.lernu.net/ 

*그린 리포트 : 스위스 경제학자 François Grin (1959~)은 스위스와 유럽연합의 언어 상황을 연구하고 2005년에 ‘공공 정책의 외국어 교육’이라는 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에서 그는 유럽의 중개 언어로 에스페란토를 선택하면, 매년 250 억 유로가 절약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 출처: http://www.avaaz.org/kr/petition/Esperanto_langue_officielle_de_lUE/

위 뜻에 공감하는 분은 아래 사이트로 이동해 서명할 수 있습니다.
http://www.avaaz.org/kr/petition/Esperanto_langue_officielle_de_lUE/ 


*에스페란토란
1887년 폴란드의 안과의사 자멘호프가 창안한 국제공용어. 변음 묵음 등이 없어 적힌 대로 소리 내고, 품사어미 악센트 등이 규칙적이어서 익히기 쉽다.
에스페란토 사용자(그들끼리는 에스페란티스토라고 부른다)들은 ‘1민족 2언어 주의’에 입각해 같은 민족끼리는 모국어를, 다른 민족과는 에스페란토를 사용한다. 현재 120여개 국가에서 5천여만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에는 1900년대 초기에 처음 소개됐으며, 김억 홍명희 등은 에스페란토로 쓴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현재 산악인 엄홍길, 소설가 김훈, 조류학자 윤무부 등이 에스페란토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 단국대, 원광대, 경희대 등에 강좌가 개설돼 있다. 
한국에스페란토협회에스페란토문화원 등에서 온라인으로 쉽게 배울 수 있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3. 2. 18. 07:33

한국 방문 시 친지들이 흔히 물어보는 것이 있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였다.

"모처럼 한국에 왔는데 뭐 먹고싶은 것이 없어? 사줄게."
"오늘은 감자탕 먹으러 가자."

20-30년 전 감자가 많이 들어가 있는 감자탕 안에 있는 뼈 속까지 파먹던 시절이 떠올랐다. 감자탕이 입에 맞을 지는 의문이었지만, 헝가리에서 온 에스페란토 친구 가보르(Gabor)에게 동행을 권했다. 


이날 묵은지감자탕을 주문했다. 먹을 음식에 대해 헝가리 친구에게 설명했다.
"오래된 김치, 감자, 돼지살이 붙은 뼈를 푹 고은 음식이다. 아마 감자가 들어가서 감자탕이라고 부른다."
"삼촌, 그게 아니고 돼지뼈에 있는 척수나 돼지등뼈 부위를 감자라는 설이 있어."라고 조카가 정정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그 옛날 즐겨먹던 감자탕과는 달리 이번에는 감자가 거의 없었다. 


걱정했지만, 헝가리인 친구는 정말 많이 맛있게 먹었다. 이날 그는 감자탕을 극찬했다.
"지금껏 한국에서 먹어본 음식 중 이 감자탕이 최고다!" 

마지막으로 밥을 비비기 위해 남은 감자탕을 국물을 들어내었다.

"저 국물은 어떻게 하나?"라고 가보르가 물었다.  
"그냥 놓고 간다."
"따로 포장해달고 하면 안 되나?"
"남은 국물을 포장해달라고 하기가 좀 어색해. 더군다나 지금 우리 숙소엔 데워먹기가 불편하잖아."


며칠이 지난 후 가보르는 그 감자탕 국물을 잊지 못했는 지 말했다.
"그때 그 남은 국물을 가져왔더라면 한 두 번 더 맛있게 먹었을 텐데. 그냥 버리게 놓아두어서 참 아까워."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13. 2. 6. 18:47

이 글은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쓴 중국 내몽고 티안쟈빙 고등학교와 경남 원경 고등학교의 자매결연 소식을 담고 있습니다.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Ofte internacie ĝemeliĝas urboj, universitatoj, asocioj, kluboj kaj similaj. Tia fenomeno ne mankas ankaŭ en Esperantujo. Tamen unuafoje en Koreio okazis ĝemeliĝo de du lernejoj pere de Esperanto.

El la du lernejoj unu estas la supermezlernejo Tianjiabing de Baotou en Interna Mongolio, aŭtonoma regiono de la Ĉina Popola Respubliko kaj la alia estas la supermezlernejo Wonkyung de Kyungsangnamdo en la Korea Respubliko. 

Ĉefaj motoroj de la ĝemeliĝo estis LIU Baoguo (Ĉinio) kaj HAN Sook-hee (Koreio), kiuj instruas Esperanton en sia respektiva lernejo. Ili konatiĝis unue per retbabilejo kaj priparolis eventualan ĝemeliĝon, renkontiĝinte en la en la 45a Konferenco de ILEI en Kunming, Ĉinio. Ili evoluigis la aferon. Okaze de la 3a ILEI-Seminario de Orienta Azio (ISOA) la delegacio de la ĉina lernejo vizitis Koreion.

En la 24a de januaro 2013 MA Xin, vicdirektoro de la ĉina lernejo kaj PARK Young Hoon, direktoro de la korea lernejo, subskribis la oficialan ĝemeliĝan interkonsenton en la sporta halo de la supermezlernejo Wonkyung. La ĝemeliĝan ceremonion ĉeestis ne nur ambaŭlandaj esperantistoj, sed ankaŭ 130 geinstruistoj de la 10 alternativaj lernejoj, kiuj apartenas al la eklezio de ŭonbulismo. Gratulparolis GONG Xiaofeng, prezidanto de la Ĉina Ligo de Esperantistaj Instruistoj kaj estrarano de ILEI.

Do, Esperanto ludis gravan rolon por ĝemeligi la du lernejojn. Ambaŭ lernejoj konsentis regulajn vizitojn kaj interŝanĝojn.

raportas CHOE Taesok


* Ĉiuj fotoj: HAN Sook-hee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13. 2. 6. 14:41

이 글은 국제어 에스페란토로 작성한 '원불교 에스페란토 국제선방'에 관한 것입니다.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En Iksan, Koreio, okazis de la 18a ĝis la 21a de januaro 2013 la 8a Internacia Esperanto-Renkontiĝo de Meditado (IERM). 

Organizis ĝin la Esperantista Asocio de Ŭonbulismo (EAŬ) sub la aŭspicioj de la Internacia Fako de Ŭonbulismo, koredevena religio. Ĉeestis 38 esperantistoj el Ĉinio, Hungario, Japanio, Koreio, Litovio kaj Novzelando. Ĉi-foje rimarkinda estis nombro de la partoprenantoj el la kontinenta Ĉinio. Ili estis 7 el kvin provincoj.

Ĉiutage antaŭ matenmanĝo okazis fizika ekzercado kaj sidmedito sub la gvido de la ŭonbulana pastro AVDEJEV Miĥail kaj ĉiuvespere antaŭ enlitiĝo ĉeestantoj 108-foje riverencis kun pento, preĝo, danko kaj bondeziro.

Dum la renkontiĝo prelegis OH Soonmo (Kontrolmetodoj de atento kaj senatento), Makoto Shiotani (Oomoto kaj Esperanto), MÁRKUS Gábor (Interna harmonio kaj ekstera paco), ŬON Ikson (Ŭonbulismo), LIM Tong Hyeok (Esperanto-similaj lingvoj), Simone Robert (Montgoriloj kaj travivaĵoj en Ugando), kaj LEE Youkyoung (Kulturo de la regno Baekje). Apartan atenton kaptis la prelego de MÁRKUS Gábor, kiu iniciatis sidmediton kaj riverencadon en Budapeŝto post sia partopreno en la 7a IERM en 2012.

Interesa estis spertado de korea kulturo. CHO Myung-ja prezentis la korean tradician ludon ‘jutnori’ kaj ĉiuj ludis en gaja kaj venkema etoso. HAN Sook-hee montris kiel kuiri la korean manĝaĵon ‘tokmanduguk’ kaj ĉiuj kune faris pastbuletojn kaj sate vespermanĝis la komune kuiritan supon. Koreaj junuloj instruis dancon de la pasintjare tutmonde populariĝinta korea kanto ‘Oppan Gangnam-stilo’.  HUĜIMOTO Hideko ceremonie regalis partoprenantojn per japana teo.

Oni ne nur meditis, sed ankaŭ ekskursis. La renkontiĝejo situas en la tereno de la centra sidejo de ŭonbulismo, en kiu troviĝas diversaj religiaj konstruaĵoj. Perpieda ekskurso tra la tereno donis la ŝancon pli konatiĝi kun ŭonbulismo kaj ĝia historio. Dum la duontaga ekskurso oni ĝuis neĝkovritan belegan pejzaĝon en kaj ĉirkaŭ la budhana templo Nesosa. Sekve oni admiris la nekutiman klifon Ĉesokgang konsistantan el sedimenta rokaĵo, kies rokaj tavoloj estas surmetitaj unu sur la alia kvazaŭ kuŝantaj libroj. Post la ekskurso tre bongustis loka rizokaĉo kun konkuloj en la vespera bankedo.

Per la renkontiĝo esperantistoj kaj ekleziuloj interŝanĝis bonajn impresojn respektive pri ŭonbulismo kaj Esperanto. Partoprenantoj vizitis la ĉefmajstron Gjongsan, la ekleziestron de ŭonbulismo, kaj li substrekis, ke ŭonbulanoj kaj esperantistoj kunlabore konstruu pacan kaj esperplenan mondon. Partoprenantoj vizitis ankaŭ la eksan ĉefmajstron Ĝŭasan, kiu fervore pledas por Esperanto ekde la 1980-aj jaroj. Li opiniis, ke se la neŭtrala, facile lernebla kaj pacocela Esperanto iĝos la dua lingvo por ĉiuj nacioj, tio estos la plej granda bonfaro al la homaro, kaj inspiris al la ĉeestantaj esperantistoj kuraĝon kaj strebon. En la dimanĉa darmkunveno MÁRKUS Gábor rakontis al pluraj centoj da ŭonbulanaj ekleziuloj, ke pere de Esperanto li konatiĝis kun ŭonbulismo kaj danke al Esperanto povis prezenti ŭonbulismon en la hungara katolika gazeto. Tio sendube vekis ĉe ili favoron al Esperanto.

La 9a IERM okazos de a 17a ĝis la 20a de januaro 2014 en Iksan. La Esperantista Asocio de Ŭonbulismo planas organizi similan aranĝon de meditado en Eŭropo okaze de la 100a Universala Kongreso de Esperanto. Interesiĝantoj turniĝu al LEE Jungkee (esperanto@saluton.net).

Raportas CHOE Taesok
▲ Post la solena inaŭguro la ĉeestantoj memorfotiĝas.

▲ Prelegas MARKUS Gabor el Hungario.

▲ Esperantistoj vizitis la ĉefmajstron Gjongsan, la ekleziestron de ŭonbulismo.

▲ Perpieda ekskurso tra la tereno de la centra sidejo de ŭonbulismo

▲ Ĉiuj preparas pastbuletojn por la korea manĝaĵo 'tokmanduguk'.

▲ Esperantistoj vizitis la eksan ĉefmajstron Ĝŭasan, kiu estas konata kiel fervora pledanto por Esperanto.

▲ Majstro Ĝŭasan, la eksa ekleziestro de ŭonbulismo

▲ Ekskurso en la templo Nesosa.

▲ Ekskurso en la klifo Ĉesokgang

▲ Oni ludas la korean tradician ludon 'jutnori. 

Ĉiuj fotoj: JEON Dae-bong
Posted by 초유스
에스페란토2012. 12. 19. 06:59

Novjara mesaĝo de la ĉefmajstro de ŭonbulismo   

Mondon plenan de bonkoreco!

Jam eklumiĝis la nova jaro esperplena.  Mi elkore preĝas, ke la estonteco de la tuta kredantaro, la tuta popolo kaj la tuta homaro estu plena de la bonfaro kaj lumo de la darmkorpa budho, la kvar bonfaroj. 

La pasinta jaro estis la turnopunkta jaro, en kiu enlande kaj eksterlande formiĝis novaj gvidantaroj por konstrui veran civilizon en nova epoko.  Ankaŭ nia eklezio nove elektis mastrojn de kredo, altrusimo kaj meritado kaj vigle ekpaŝis al la centjara jubileo de ŭonbulismo.  Tamen en la nuna mondo estas montoj da urĝe solvendaj taskoj.  Sekiĝis bonkoreco en homa menso, profundiĝis breĉoj inter sociklasoj kaj serioze damaĝiĝis naturmedio en la terglobo, kaj tio alportas enormajn katastrofojn.

Ĉi tiaj problemoj ne estas sub respondeco de unu aŭ du gvidantoj, sed estas taskoj solvendaj per saĝo kaj decidemo de ni ĉiuj.  Jen mi proponas kelkajn praktikajn rimedojn por solvi ilin.  

Unue, ni kultivu virtecon origine havatan.

Ni ĉiuj havas virtan kompaton en la menso.  Ĝi nomiĝas virteco kaj estas la fundamenta kampo de feliĉo, kiun ni ĉiuj persone havas.  Tamen ĉi tiu virteco sekiĝas pro kruela konkurenco kaj egoismo.  Plie, materialoj estas abundaj pro scienca evoluo, sed plimalgrandiĝas feliĉo.    

Necesas al ni la saĝo kaj kuraĝo por trovi kaj kultivi virtecon, kiun ni mem havas.  Por tio ni devas liberiĝi de troa deziro kaj haltigi menson nur eksteren kurantan.  Ni devas konformigi nin al la origina naturo de nia interno, por ke virteco elmontriĝu spontane.  Ni devas trovi la fonton de bonfaro, kiu estas ene de ni, kaj fariĝi mastroj de riĉa kompato.  Tiukaze, ni fariĝos la enkarniĝo de kompato, posedos bonfaron kaj ĉiam ĝuos paradizan vivon.

Due, ni vastigu varman bonkorecon.

Supozeble, popola vivo estos pli malfacila en ĉi tiu jaro.  Ju pli malfacila estas la mondo, des pli necesas bonkoreco, kiu varme malsekigas sekan menson de homoj.  Homoj estas bonkoraj al siaj proksimuloj.  Se ni pli kaj pli vastigos la barilon, la tereno de paradiza mondo vastiĝos.    

Ankaŭ la fundamento de moralo, kiun ni de longe gravigas, estas kontrui mondon plenan de bonkoreco.  Ju pli malbonkora estas la mondo, des pli ni devas prizorgi mizerajn najbarojn, dividi suferojn kun ili kaj esperigi ilin.  Cedante unu paŝon, ni varme kaj malseke volvu sekajn mensojn de najbaroj kaj fariĝu mastroj, kiuj konstruas mondon plenan de varmkoreco.   
 
Trie, ni atingu sukceson per kunlaboro.

Sennombraj vivuloj kaj senlimaj estaĵoj ekzistas sub kunlaboro.  Ĉiuj ne povas vivi unu sen la alia, tial eblas senti la principon, ke doni estas ĝuste ricevi kaj ricevi estas ĝuste doni.  Ni devas mem plene kompreni la principon de reciproka dono-ricevo kaj krei rilaton de reciproka vivigo.  Do nun estas la tempo, kiam necesas la spirito de granda kunlaboro por kunfortigi la centron de familio, socio aŭ ŝtato.

Ni alvenas al tre grava tempopunkto por profunde kontempli ne nur rilatojn inter homoj, sed ankaŭ rilatojn inter homoj kaj naturo.  Ni alfrontas enormajn katastrofojn tial, ĉar ni traktis naturon, kiu estas la fonto de la vivo, kiel evoluigan objekton sub homcentrismo.  Ni devas ŝanĝi tian rilaton kun naturo al tiu de reciproka vivigo kaj al tiu de bonfaro.  Ne nur iu sola, sed ankaŭ ni ĉiuj kune konstruu la mondon de sukcesa kunlaboro.       

Novjaran matenon en la 98a ŭonbulana jaro (2013)
Gjongsan,
ĉefmajstro de ŭonbulismo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12. 10. 17. 08:34

알고 지내는 에스페란토 선배 한 분이 페이스북에 최근 소식을 올렸다. 

내용인즉 자녀들이 회갑축하로 크루즈여행을 보내주었는데 

크루즈 안에서 강남스타일 배우기가 열렸다는 것이다.


그 분에 따르면 필리핀 승무원이 비디오 테잎을 보고 익힌 솜씨로

승객들에게 강남스타일 춤을 가르치고 있다.
  

동남아 크루즈까지 점령한 싸이 음악 소식을 접하니 그 대단함에 그저 놀랄 뿐이다.

한편 대부분 K-Pop 때문에 빌뉴스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을 보면 

바로 이런 사람들이 세계 도처에서 지금껏 축적해온 K-Pop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싸이 노래가 폭발적으로 인기를 얻는 데 기여한 것이 아닐까......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5. 15. 05:25

지난 주말 1박 2일로 모처럼 빌뉴스를 떠나 시골에서 보냈다. 인구 천명의 작은 도시 아욱쉬타드바리스(Aukštadvaris)이다. 행사는 리투아니아 에스페란티스토 기자협회 모임이었다. 30명이 참가했다. 잘 정리되고 깨끗한 된 민박집에서 행사가 이루어졌다. 민박집이 바로 호수와 접해 있었다.

* 1박2일 행사가 열린 민박집 전경

행사장으로 가는 길에 비가 내렸다. 하지만 행사장에 도착한 후 오후부터 맑아졌다. 모임에서 느낀 몇 가지 단상을 적어서 유럽인들의 모임 분위기를 전하고자 한다. 

1. 부담스럽지가 않았다  
단체 모임이니 당연히 정해진 진행표가 있었다. 참가수가 적다고 프로그램 시작을 늦추지 않았다. 누가 나서서 참가 독려도 하지 않았다. 있는 그대로 프그램이 시작되고 진행되었다.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았고, 또한 전혀 부담스러움을 느끼지도 못했다. 모두가 사람들의 자유 의사에 맡겼다. 느슨해보였지만 진행표대로 다 이루어졌다.   

2. 식사 준비에 뺀질이가 없었다
이런 야외 모임에 빠질 수 없는 것이 숯불 꼬치구이이다. 야외 화로에서 불을 피우고 숯을 만들어 고기를 굽는 일은 남자 몫이다. 채소 무침을 만들고 식탁을 준비하는 일은 여자 몫이다. 누가 나서서 일을 시키는 사람도 없는데 참가자 대부분이 열심히 일을 거들었다.

3. '애들은 빠져!'가 없었다
배구를 하는 데 8살 아이도 참가했다. 어른들끼리 하면 더 신나게 놀 수 있었을 것이다. 아이들도 노니 배구공이 제대로 하늘 위로 날 지를 못했다. 시간 소비가 엄첨 많았다. 하지만 '우리끼리 배구할테니 애들은 그네를 타!"라고 말하는 어른이 하나도 없었다. 

4. 곤드레 만드레가 없었다
밤을 지새우면서 하는 행사라 편하게 술자리가 펼쳐졌다. 그런데 곤드레 만드레 술취한 사람이 없었다. 이유가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술을 강제로 권하는 사람도 없고, 자기 잔을 자기가 채우는 사람도 없었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대체로 다른 사람이 자기 잔을 채워줄 때까지 기다린다. 행사에는 돌아가면서 축사를 하는데 축사를 마친 사람이 건배를 제안한다. 물론 잔을 다 비울 필요는 없고, 자신의 양만큼 홀짝 혹은 꿀꺽 마신다. 혼자 술을 마시기보다는 주위 사람들과 함께 보조를 맞춘다.

5. 노래시키기가 없었다
여흥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노래다. 우리나라 여흥에는 노래시키기나 장기자랑이 흔하다. 청소년 시절 노래를 못 불러서 여흥을 동반한 모임에 나가기가 겁이 났다. "노래를 못 하면 장가를 못 가요~~~ 아, 미운 사람"을 떠올리면서 노래방도 없던 시절 혼자 열심히 연습해보았지만, 남들 앞에 서면 음정 박자가 틀리기 일쑤였다. 그런데 유럽 사람들 사이에 20여년을 살면서 지금까지 노래시킴을 당한 적이 없다. 종종 한국 노래를 불러달라는 권유를 받지만 이는 강제성이 전혀 없다. 이번 모임에도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노래가 이어졌다. 독창은 없고 모두가 기타 반주에 따라 함께 노래를 불렀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꼬치구이도 먹고, 사우나도 하고, 배구도 하고, 호수에서 배도 타고, 노래도 부르고, 퀴즈에서 상도 타고, 토론도 하고...... 그야말로 자연 속에서 휴식을 마음껏 즐기고 집으로 돌아왔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5. 2. 06:34

인터넷 누리소통망(SN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덕분에 전 세계에서 누구나 이름과 얼굴만 보고, 아니 이것 없이도 그냥 쉽게 친구가 된다. 물론 얼굴을 마주보고 생각과 고민을 털어놓으면서 오랫동안 쌓인 우정과는 질적 차이는 분명히 있겠다. 

현재 내 페이스북 친구수가 천명을 넘었다. 얼마 전 프랑스 파리에 살고 있는 친구가 쪽지를 보내왔다. 근로자의 날 휴가로 빌뉴스를 방문한다는 내용이었다. 대면도 하지도 않았고, 대화도 한번 하지도 않았지만 친구 등록이 되어 있기만 해도 이 소식을 접하니 반가웠다. 

프랑스 에스페란스토들 
에디(Edi) 아르멜레(Armelle) 줄리아(Julia)

리투아니아 에스페란티스토들
마리유스(Marijus) 이네사(Inesa) 비타(Vita)

이들은 빌뉴스에서 나를 만나고 싶다고 했다. 이렇게 세 명의 프랑스 사람이 빌뉴스를 방문했다. 우리들의 공통점은 국제어 에스페란토를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곧 바로 빌뉴스에서 사는 에스페란티스토들에게 연락했다. 프랑스 사람들이 오는데 환영모임을 하자고 제안했다. 4월 30일 월요일 두 나라 에스페란티스토들이 함께 모여 저녁식사를 했다.  

리투아니아 전통음식
리투아니아 전통음식에 즐겨워하는 아르멜레 감자전(속에 고기가 들어감)
감자순대 되지비계콩

처음 방문한 나라에서 더욱이 말도 통하지 않는다면 음식시키기가 여간 곤란하다. 그 나라의 전통음식을 먹고 싶어도 제대로 주문해서 먹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렇게 현지인들의 도움과 추천을 받으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함께 식사하고 대화하면서 현지인들의 삶에 대해 훨씬 더 생생하게 느끼고 알게 된다. 

초유스의 안내를 받으면서 관광
빌뉴스 구시가지 빌뉴스 구시가지
문학의 거리 우주피스 헌법

또한 현지에 살고 있는 친구의 안내를 받으면서 여행책에 나온 것보다 훨씬 다양한 볼거리를 보고,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물론 에스페란티스토 친구 사이는 이런 관광안내가 무료이다. 사전에 상의하면 숙소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처음 만난 프랑스인 페이스북 친구였지만, 벌써 진짜 친구가 된 듯하다. 

다시 한번 이들의 방문을 통해서 외국 여행을 가려면 사전에 어떤 형태이든 친구나 지인을 두는 것이 좋겠다고 느꼈다. 페키지 여행을 하더라도 저녁시간에 현지인 친구를 만나 차나 맥주를 마시면서 대화를 나눈다면 그 여행의 즐거움이 한층 더 클 것이다. 여행을 좋하는 사람들에게 에스란토를 권하고 싶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2. 4. 27. 07:26

조금 전 루마니아에 살고 있는 에스페란토 친구로부터 편지 한 통을 받았다. 루마니아에서 교사로 정년퇴임한 헝가리인 할머니다. 루마니아에 일어나고 있는 한국에 관련된 소식을 종종 알려준다. 할머니가 에스페란토로 보내온 편지이다.  


번역문:

초유스에게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주요 신문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방금 읽은 기사를 너에게 곧 바로 이야기해야겠다.그곳에 한국문화원이 개설되었는데 여러 가지 프로그램 중 한국어강좌도 열린다. 이 강좌에 무려 160명이나 신청했다.

왜 사람들은 한국을 사랑하게 되었을까?
나 또한 아주 좋아하는 한국의 역사 드라마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 내 동료들 중에는 아무도 그 드라마를 안 보고, 나는 내 자신이 아마도 괴짜라고 믿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바로 내가 높이 평가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지금 알게 되어 기쁘다. 

참 아름다운 복장과 건물, 화려한 풍경뿐만 아니라 도덕성이 부각되는 드라마 분위기가 정말 내 마음에 든다. 너의 나라 드라마의 성공에 네가 기쁘할 것이라 생각한다.

우정과 함께 인사한다. 렝케

렝게(Lenke) 할머니는 루마니아 작은 도시에서 살면서 루마니아 TV에 방영되는 한국 사극과 드라마를 열심히 시청하고 있다. 주변 사람들 가운데 혼자만 한국 드라마에 푹 빠져있으니 자신이 괴짜라 믿고 있다. 그러던 찰나에 부다페스트 한국문화원이 개최한 한국어 강좌에 160명이나 신청했다는 소식에 너무 기쁜 나머지 한국인인 나에게 편지를 썼다. 

한국이라는 매개로 기쁨을 공유하고자 하는 렝케 할머니가 고맙고, 내가 한국인임에 자랑스러움을 느낀다. 앞으로도 더욱 수준 높은 한국의 사극이나 드라마가 유럽 TV에 방영되어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해주면 좋겠다.


Posted by 초유스
요가일래2012. 1. 14. 06:54

연초를 맞아 12일 저녁 리투아니아 현지인 에스페란토 사용자들과 모임이 있었다. 한 겨울인데 굵은 비가 쭈룩쭈룩 내렸다. 두꺼운 옷만 아니였다면 쉽게 여름으로 착각시킬 날씨였다.

갈까 말까 망설였다. 정말 모처럼 만나고 또한 모임 활성화를 위해 참가하는 것이 좋겠다고 해서 달갑지 날씨에도 가기로 아내와 같이 결정했다. 일반적인 모임이 다 그렇듯이 각자 마실 술과 먹을 음식을 가져왔다. 둘러앉은 책상 위에 놓으니 제법 먹고 마실 만한 양이었다.

화기애애한 분위기였지만, 어둡고 비내리는 밤 혼자 집에 있는 초등학교 4학년생 딸아이 요가일래가 간간히 떠올랐다. 그래서 아내는 불안하지 않고 잘 있는지 문자쪽지를 보냈다.

 
딸애: "숙제하고 있어."
아내: "(숙제가) 어려우면 연필로 해" (즉 아내가 돌아와 정답이면 연필 위에 만년필로 쓸 수 있도록)
딸애: "그렇게 하고 있어. 어렵지 않지만 (연필로 쓰고 있어). (내 걱정 하지 말고) 집으로 돌아올 때 조심만 해. 아주 심하게 비가 오고 바람이 불고 있어."

집으로 돌아오면서 아내가 이 문자쪽지를 보여주면서 말했다.
"요가일래가 마치 우리 부모인 것처럼 쪽지를 보냈어."
"정말이네. 우리가 요가일래의 부모인지 아니면 요가일래의 자식인지 헷갈리네."

옛날 같으면 무서워서 혼자 집에 있고 싶지 않다고 생떼를 부렸을 법하다. 하지만 이제는 오히려 밤에 외출한 부모가 돌아올 때 조심하라고 문자쪽지까지 보낼 정도로 훌쩍 커버린 것 같다.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1. 12. 14. 15:24

블로그 상선약수(上善若水) 운영자이자 에스페란토 친구인 노모타(Nomota)님의 페이스북에서 생각케 하는 사진 한 장을 보게 보게 되었다. 지인은 자가 아들이 쓴 글을 올렸다.

아들은 이제 여덟살이다. 그는 2학기가 되어도 주위 친구들은 그의 마음을 이해해주지 않고 자기만 말을 한다고 했다. 변한 것이 아무 것도 없는데 세월만 흐른다고 안타까워하고 있다. 여덟살 어린 초등학교 1학년생 아이가 벌써 인생을 알아버린 듯한 세월타령에 웃음이 절로 나온다. 
[사진출처: Nomota 페이스북

 
여덟살 아이가 느끼는 바나 쉰살을 앞두고 있는 내가 느끼는 바나 다름이 없는 것 같다. 지금도 "왜 아내는 혹은 딸은 내 마음을 이해해주지 않지?"라는 안타깝고 불평스러운 마음이 순간 순간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해소법은 있다.

"그래, 네가 나를 이해주지 않으면 내가 너를 이해해주지."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1. 10. 8. 07:24

이번주 폴란드 누리꾼들 사이에 아주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동영상 하나를 소개한다. 10월 2일 유튜브에 올라온 이 동영상은 현재 조회수가 87만을 넘어서고 있다. 한 여자아이가 아이스크림을 먹으면서 지나간다. 이를 지켜보고 있는 두 아이가 몹시 부러워한다. 


여자아이: "나도 아이스크림 먹고 싶어......"
남자아이: " 나는 감자튀김!"

여자아이: "뭔가 해봐!"
남자아이: "기다려봐"


남자아이는 집으로 가서 세차 도구를 챙긴다. 그리고 이들은 횡단보도 근처에 차를 기다린다. 이때 신부가 탄 승용차가 신호대기로 멈춘다. 남자아이는 재빠르게 차를 닦는다.  

차에 탄 신부는 휴대폰으로 전화한다. 
신부: "그래, 타데우쉬, 그래, 천만 (즐로티: 폴란드 화폐딴위)에 구입해!"

아이들은 차창가에서 신부로부터의 답례를 기다린다. 신부는 손으로 많은 돈을 센다. 돈 사이에 있는 예수 얼굴 사진을 아이들에게 주면서 말한다.
신부: "하나님이 갚으소서(
Bóg zapłać), 아이들아!"  

(Bóg zapłać: 신의 가호가 있기를. 이 대화를 폴란드어에서 에스페란토로 번역해준 친구 헬레나(Helena)에 따르면 폴란드 사람들은 돈으로 갚고 싶지 않을 때 이렇게 말한다.) 

여자아이: "이제 뭐하지?"
남자아이: "괜찮아, 사람은 빵만으로는 살지 않아."


이 대화를 번역해준 미르카(Mirka)는 말미에 자신의 의견을 표했다. "행복하게도 지금껏 나는 정말 성스러운 신부들을 만나왔다. 하지만 신부들도 사람이고 모든 다른 사람처럼 죄인이라는 것은 알고 있다. 사실 종종 신부들의 나쁜 행동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고, 사람들은 이것을 일반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수중에 많은 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이스크림과 감자튀김을 먹고 싶어하는 (가난한) 아이들에게 "하나님이 갚으소서"로 답하는 신부는 오늘날 물욕으로 변질된 종교인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듯하다. 이 시대의 종교와 종교인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동영상이다.

이 폴란드 대화를 에스페란토로 번역해준 헬레나와 미르카에게 감사한다. Mi dankas al Helena kaj Mirka, kiuj afable tradukis la polajn interparolojn en Esperanton).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1. 9. 28. 06:49

월요일 리투아니아의 한 중학교를 방문했다. 영어 수업시간에 에스페란토를 소개하기 위해서였다. [관련글: 교실마다 세면대로] 수업을 마치고 복도로 나와자 학생들이 조금 거리를 두고서 외쳐대었다.

"야포나스!", "야포나스!"

야포나스(japonas)는 리투아니아어로 일본인이라는 뜻이다. 이렇게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동양인을 볼 때에는 "야포나스" 혹은 "키녜티스"(중국인, kinietis)라 자기들끼리 수근거린다.

이런 경우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라바스, 아쉬 에수 코레예티스"(안녕, 나 한국인이야)라고 정정해주곤 한다. 대개 친한 분위기가 형성된다. 

그런데 때론 분위기가 삭막한 경우도 있다. 바로 특정 민족으로 표현할 경우가 아니라 약간 경멸적인 표현을 들을 때이다. 이런 경우 못 들은 척하고 지나간다. 이들은 대부분 무리를 지은 십대들이다. 

그렇다면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어떤 경멸적인 표현을 쓸까?  

먼저 "čiurka"(츄르카)이다, 이는 "황인종 사람"을 뜻하는 비어(卑語)이다. 그 다음으로는 "juodašiknis"(유오다쉬크니스)로 "검은 엉덩이를 가진 사람"을 뜻한다. "siauraakis"(샤우라아키스)도 종종 쓰인다. 이는 "좁은 눈을 사진 사람"이라는 뜻이다. 

아래는 빌뉴스의 우주피스이다. 지나가는 십대 무리가 인터뷰를 하고 있는 나를 향해 "čiukčia"(츅챠)라고 부르는 것이 영상 오디어에 잡혔다. "츅챠"는 "츄르카"와 동일한 표현이다. 



유럽의 다른 나라에서는 어떨까 궁금해 페이스북 에스페란토 그룹에 물었다. 지금까지 달린 답은 이렇다.

* 이탈리아 친구:
"알지 못한다. 이탈리아인들은 동양인의 거시기는 짧다라고 말한다.
* 독일 친구: 예전엔 "Schlitzaugen"(틈눈)이라 말했지만 요즈음은 듣지 못했다. 여기 사람들도 특히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들의 성공과 경제력으로 인해 여기 사람들은 점점 아시아인들을 존경한다. 그래서 경멸하는 것이 그친 것으로 생각한다."
* 독일 친구: 동독에서는 아시아인들을 "Fidschi"(피지)라 자주 부른다. 한국에서는 유럽인을 경멸하는 표현은 없나?"
* 프랑스 친구: "점점 들을 수가 없다. chnew [쉬네우] (중국인), bridé [브리데] (굴레 씌운 눈), jaune [존] (황인) 등이 있다. 내가 생각하기로는 bridé가 가장 경멸적인 표현이다."


틈처럼 생긴 눈, 아몬드처럼 좁은 눈, 굴레가 씌워져 크지 않은 눈 등이 아시아인을 경멸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아시아인들 중에는 토끼처럼 크고 둥근 눈을 가진 사람들도 적지 않다. 더우기 요즘은 성형시대이다.

독일 친구말처럼 아시아인들의 성공이 세계에 널리 알려지고, 또한 상호교류가 많아지고 상호이해가 증진됨에 따라 점점 다른 대륙인에 대한 경멸적인 표현들은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있음을 느낀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1. 9. 27. 05:15

며칠 전 부탁 하나를 받았다. 빌뉴스에 있는 한 중학교 영어 수업에 참석해달라는 것이다. 내용은 영어가 아니라 에스페란토다. 영어 선생님이 자신의 학생들에게 에스페란토를 소개해주고 싶다고 했다. 

유럽연합의 단일 공용어 논의에 단골로 등장하는 언어가 영어와 에스페란토이다. 영어는 자연어이고, 에스페란토 인공어로 1887년 출발한 언어이다. [에스페란토에 대해 궁금한 사람은 여기로] 하지만 아직까지 유럽연합은 단일 공용어 선택보다는 다양한 언어를 존중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 학교 교문을 열고 들어가니 눈에 띄는 것이 있었다. 교실문마다 종이가 붙여져 있었고, 이 종이에는 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과목이 다섯 개 언어로 써여져 있었다.
 

리투아니아 학교 교실은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 에스페란토를 소개하는 동안 교실 모습을 찍어보았다. 몇해 전에는 볼 수 없었던 빔프로젝트, 스크린, 컴퓨터 등이 잘 갖춰져 있었다.


30여석 의자가 놓여져 있었다.


교실 앞에는 교과서가 잘 정돈되어 있었다.


교실 벽에는 가을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걸려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바로 세면대였다. 세면대가 있으니 교사든 학생이든 굳이 화장실에 가지도 않고 교실에서 손을 씻을 수 있게 해놓았다.


한국에서 다니던 모든 학교 교실에는 세면대가 없었다. 리투아니아 교실마다 있는 세면대를 보니 이들의 위생관념이 돋보인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1. 9. 15. 09:51

최근 구름 속 예수 형상을 띤 그림자가 포착돼서 세계 누리꾼들로부터 커다란 화제를 모았다. 프랑스 아마추어 사진작가 루크 페롯이 프랑스령 레위니옹 섬의 화산 지대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마치 두 팔을 벌리고 서 있는 듯한 예수의 형상이다고 한다[바로 아래 사진: 출처].
 

아래는 일전에 폴란드 친구가 내 에스페란토 블로그 방명록에 올려준 사진이다. 사진 설명은 없었지만, 얼핏 보기에 두 팔을 벌리고 하늘로 올라가는 듯한 모습이다. 


아래는 몇일 전 식구들과 빌뉴스 게디미나스 성을 산책하면서 찍은 내 사진이다. 우연히 발밑을 보니 누군가 사랑을 고백하기 위해 박아놓은 듯한 하트 모습이다.   


하트에서 조금 내려오다가 다소 무서운 모습을 띤 돌 하나를 포착했다.


"이건 무엇을 닮았나?"라고 물었다.
"뿔이 달린 악마 같네"라고 초등학생 딸아이가 답했다.

구름 속 "예수" 형상이든,  길바닥 돌 "악마" 형상이든 결국 이를 바라보는 사람이 그려내는 것이지 그 자체가 "예수"도 "악마"도 아니다. 어렸을 때 밤에는 무서운 장검을 들고 있는 거대한 사람이 아침에 일어나보면 한 그루 나무에 불과했다. 이렇듯 허상에 얽매이지 말하야겠다.

Posted by 초유스
사진모음2011. 9. 14. 10:23

한국에서 보냈던 학생 시절 여름 방학 숙제로 식물과 곤충 채집을 받곤했다. 이때 빠지지 않는 곤중으로는 방아깨비와 사마귀 등이 있었다. 방아깨비를 선호했다. 왜냐하면 방아깨비의 기다란 뒷다리를 잡고 있으면 방아깨비가 위아래로 끄덕거리는 모습이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사마귀는 좀 징그럽고 무서웠다. 사마귀 몸은 가늘고 길며, 몸빛은 녹색이거나 누른 갈색이다. 앞다리가 크직하며, 그 끝에 낫처럼 생긴 돌기가 있어 먹이를 잡아먹기에 편리하다. 곤충 사마귀는 살갗에 낟알만 하게 올라와 납작하게 돋은 군살인 사마귀와 이름이 같다. 

"사마귀에 물리면 사마귀가 나!"라는 동네 형들의 말에 사마귀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했던 기억이 난다. 방아깨비나 메뚜기는 잡으려고 했지만, 사마귀는 피해가고 싶은 곤충이 되어버렸다. 암컷 사마귀는 짝짓기 한 수컷까지 잡아먹는다는 것을 더 자라서 들은 후터는 사마귀가 사마귀로까지 느껴지게 되었다. 사마귀라면 늘 녹색 사마귀만 떠오른다. 풀과 같은 색이라 움추리고 숨어있으면 찾아내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데 자기 정원에서 곤충과 꽃 사진찍기에 취미를 가지고 있는 헝가리인 에스페란토 친구가 최근 올린 사진에서 참 특이한 사마귀를 보게 되었다. 황금빛을 발하는 사마귀였다. 녹색 사마귀만 보다가 이런 색다른 사마귀를 보니 참 신기하다. 
[사진 Foto:  Erzsébet Tuboly; 출처 fontohttp://www.ipernity.com/home/33065]


황금빛 들녁의 한가위 계절에 황금빛 사마귀를 보니 고정된 인상에도 불구하고 이 사마귀가 몹시 신기하고 아름답게 보인다.

* 최근글: 빨간 란제리女 헝가리 인구조사 홍보 톡톡히  

Posted by 초유스
생활얘기2011. 9. 10. 10:43

지난 여름 여러 차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로 한국인 여행객들을 안내한 적이 이었다. 가는 곳마다 과거보다 훨씬 많은 동양인들을 볼 수 있었다. 한국, 일본, 중국 사람들은 물론이고 태국, 인도, 말레시아 사람들도 눈에 띄었다. 이제 이곳 발트 3국까지 아시아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들고 있다.

일전에 유로컵 농구 경기를 같이 보기 위해서 빌뉴스 에스페란토 친구들이 함께 모였다. 일행 중에 나만큼 오랫동안 빌뉴스에서 살고 있는 독일인 친구가 있다. 그는 빌뉴스에서 자전거 타기 운동을 벌이는 한편 자전거 임대업과 자전거 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자전거를 빌리는 동양인 관광객들이 늘어났고, 한국인들도 더러 있었다고 말했다.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은 쉽게 구별이 되냐고 물었다. 이는 유럽 사람들로부터 흔히 받는 질문이다. 이 동아시아 3국을 가본 적이 없는 유럽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지사이다.

* 관련글: 세계 각국 여성들의 평균 얼굴 모습은 이렇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 "당신은 리투아니아인, 라트비아인, 에스토니아인을 어떻게 구별해요?"라고 되묻곤 한다. 명확하게 발트 3국 사람을 구별하기 어렵듯이 동양 3국 사람을 구별하기도 어렵다. 대답은 "구별하기 어렵다. 보통 감(感)으로 구별한다."이다. 물론 이 감도 3국 사람을 다 경험해야 맞을 확률이 높다.

그러면 "너는 어떻게 동양 3국 사람을 구별하니?"라고 물었다. 독일인 친구의 답은 이렇다.

일본인은 얌전하다.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는 모습이 역력하다. 

중국인은 러시아인 같다. 상대방을 고려하지 않고 자기 마음내키는 대로 행동한다.

한국인은 일본인과 중국인의 중간이다. 

그는 동양인을 보면 얌전성과 막무가내성을 기준으로 먼저 일본인과 중국인을 구별한다. 그리고 나서 그 중간적인 모습으로 한국인을 구별한다. 경험상 이 기준대로 맞은 확률이 상당히 높았다고 그는 말했다. 

물론 편견이나 선입견을 가지고 상대방이 속한 민족을 구별해서는 안되겠지만, 상대방이 어느 나라 사람일까 추측해보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가질 수 있다. 
Posted by 초유스
영상모음2011. 9. 9. 07:57

헝가리는 늘 가고 싶은 나라 중 하나이다. 1990년대초 헝가리에 살았다. 당시 얼마간 시골에서 헝가리 사람 집에서 생활했다. 이른 봄에는 포도나무 가지치기를 경험했고, 가을에는 포도수확 일을 거들었고, 흥겨운 포도수확 전통축제에 참가했다.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달려가고 싶은 마음이 일어난다.

일전에 부다페스트에 살고 있는 에스페란토 친구가 포도주축제 행사가 열린다고 알려주었다. 이 축제는 9월 7일부터 11일까지 부다성(城)에서 열린다. 부다성은 부다페스트를 형성하는 부다의 언덕 남쪽 꼭대기에 위치해 있다. [사진출처: image source link]


축제는 올해 20주년을 맞이한다. 직접 가보지 못한 아쉬움을 행사 사이트(http://www.aborfesztival.hu)에 올라온 사진 등으로 위안을 삼는다.


많은 추억을 준 헝가리에 언제 다시 가볼까...... 막상 같은 동유럽에 있지만 그곳으로 걸음하기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닌 것이 이내 인생사로다...... 혹시 부다페스트에 살고 있거나 여행중인 사람이라면 꼭 이 축제에 참가해 헝가리 포도주를 즐길 것을 권한다. 

Posted by 초유스
기사모음2011. 9. 7. 06:09

달걀 한 판에 들어있는 달걀 알 수는 얼마일까? 한국은 대체로 30알로 알고 있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나라는 어떨까? 누구나 한번쯤 궁금증을 가져볼 만하다. 국제어 에스페란 친구들이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올렸다[출처 | Fonto: facebook - esperanto].

* 리투아니아 달걀 한 판에는 달걀이 10알 들어 있고, 모든 달걀에는 코드가 적혀 있다.
 

다양한 나라에 살고 있는 에스페란티스토들이 알려주 달걀 한 판의 알 수를 알아보자.

네덜란드: 6 혹은 10알. 부활절이 있는 4월엔 20알. 부활절로 달걀 소비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아르헨티나: 6알, 드물게 12알

쿠바: 22-24알
스웨덴: 6, 12, 15, 18, 혹은 20알

이란: 30알
미국: 6, 12, 18알

브라질: 6알
리투아니아: 10알

한국: 30알
일본: 6, 8 혹은 10알

중국: 큰 곽에서 필요한 만큼 고른다.
독일: 6 혹은 10알

러시아: 10알
이스라엘: 12알, 종종 6 혹은 18알

이상으로 살펴보면 달걀 한 판은 나라마다 다양함을 알 수 있다. 최소 6알, 최대 30알이다. 이란과 한국이 30알로 가장 많다.

달걀을 찾아야겠다.

* 관련글: 유럽서 파는 달걀, 코드의 뜻은 무엇일까?


Posted by 초유스